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r13 vs r14
... ...
14 14
[[A Dance of Fire and Ice]]의 공식 레벨 중 [[세계/세트1|세트1]]의 첫번째 레벨인 '''1번째 세계'''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15 15
== 특징 ==
16 16
불과 얼음의 춤의 '''첫번째''' 세계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 게임을 처음 접하고 기초적인 게임의 방식을 익혀가는 레벨로, 공식 레벨에서 가장 쉬운 레벨 중 하나이다.
17
총 6개의 튜토리얼이 있는데, 대부분이 일자 길로 이루어져 있을 정도로 기초적이다. 또한 이 게임의 핵심인 '''각도'''에 따른 박자 변화를 처음 배우는 레벨이기도 하다. 자세한 설명은 없지만 밟으면 행성의 공전 속도가 느려지는 '''{{{#0000ff 달팽이}}}''' 타일도 처음 등장한다.
17
총 6개의 튜토리얼이 있는데, 대부분이 일자 길로 이루어져 있을 정도로 기초적이다. 또한 이 게임의 핵심인 '''각도'''에 따른 박자 변화를 처음 배우는 레벨이기도 하다. 자세한 설명은 없지만 밟으면 행성의 공전 속도가 느려지는 '''{{{#0000ff 달팽이}}}''' 타일도 처음 등장한다. 튜토리얼의 배경 색은 어두운 남색.
18 18
19 19
메인 레벨의 디자인은 게임에 처음 입문한 사람들도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별이 수놓인 우주와 사슬에 매달린 랜턴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등장하는 랜턴은 공식 레벨을 클리어했을 때 그 기록에 따라 세계 입구 위에 매달린다.
20 20
== 튜토리얼 ==
21 21
=== 1-1 가장 기본적인 것부터 ===
22
||<table align=left><-4><tablewidth=400><colbgcolor=#2F0A4C><table bordercolor=#676767><col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90B50, #290B50)"
23
'''{{{+1 1-1 가장 기본적인 것부터}}}'''}}} ||
24
||<-4><nopad> [youtube(튜토리얼 영상)] ||
25
||<-4><nopad> {{{#!folding [ 전체 튜토리얼 보기 ]
26
[[tuto1-1.png]]}}} ||
27
||<width=25%> '''BPM''' ||<-4> - ||
28
|| '''타일 수''' ||<-4> 10 ||
29
|| '''배우는 패턴''' ||<-4> 일자 길 ||
30
이 게임의 첫 세계의 첫 튜토리얼인 만큼 게임의 메커니즘 자체를 익히는 튜토리얼이다.
31
BPM도 000으로 굉장히 느리다.
32
33 33
=== 1-2 Z굴곡 ===
34
||<table align=left><-4><tablewidth=400><colbgcolor=#2F0A4C><table bordercolor=#676767><col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90B50, #290B50)"
35
'''{{{+1 1-2 Z굴곡}}}'''}}} ||
36
||<-4><nopad> [youtube(튜토리얼 영상)] ||
37
||<-4><nopad> {{{#!folding [ 전체 튜토리얼 보기 ]
38
[[tuto1-2.png]]}}} ||
39
||<width=25%> '''BPM''' ||<-4> - ||
40
|| '''타일 수''' ||<-4> 18 ||
41
|| '''배우는 패턴''' ||<-4> 90° 아래로 꺾인 길 ||
42
길 모양이 바뀌면 어떤 식으로 박자가 바뀌는지를 처음 알게 되는 튜토리얼이다.
43
Z굴곡 패턴은 원래 박자에서 반박자 밀려서 입력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물론 보통 처음 이 게임에 입문한 사람들은 '타일 각도에 따른 박자 변화'를 익힌다기보단 그냥 행성이 돌아가는 것을 보고 치는게 대부분이다. ]
44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45
■□■□|■□■□|■□■□|■□□■|■□■□|■□■□
46
47 47
=== 1-3 S굴곡 ===
48
||<table align=left><-4><tablewidth=400><colbgcolor=#2F0A4C><table bordercolor=#676767><col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90B50, #290B50)"
49
'''{{{+1 1-3 S굴곡}}}'''}}} ||
50
||<-4><nopad> [youtube(튜토리얼 영상)] ||
51
||<-4><nopad> {{{#!folding [ 전체 튜토리얼 보기 ]
52
[[tuto1-3.png]]}}} ||
53
||<width=25%> '''BPM''' ||<-4> - ||
54
|| '''타일 수''' ||<-4> 18 ||
55
|| '''배우는 패턴''' ||<-4> 90° 위로 꺾인 길 ||
56
90° 아래로 길이 꺾여 반박자 느리게 입력해야 했던 Z굴곡과 달리 90° 위로 꺾여 반박자 빠르게 입력해야 하는 S굴곡을 배우는 튜토리얼이다.
57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58
■□■□|■□■□|■□■□|■■□□|■□■□|■□■□
59
60 60
=== 1-4 더 많은 굴곡 ===
61
||<table align=left><-4><tablewidth=400><colbgcolor=#2F0A4C><table bordercolor=#676767><col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90B50, #290B50)"
62
'''{{{+1 1-4 더 많은 굴곡}}}'''}}} ||
63
||<-4><nopad> [youtube(튜토리얼 영상)] ||
64
||<-4><nopad> {{{#!folding [ 전체 튜토리얼 보기 ]
65
[[tuto1-4.png]]}}} ||
66
||<width=25%> '''BPM''' ||<-4> - ||
67
|| '''타일 수''' ||<-4> 18 ||
68
|| '''배우는 패턴''' ||<-4> Z굴곡과 S굴곡의 복습 ||
69
이전 튜토리얼들에서 배운 Z굴곡과 S굴곡을 다시 익히는 튜토리얼이다.
70
71 71
=== 1-5 볼륨 높이고! ===
72
||<table align=left><-4><tablewidth=400><colbgcolor=#2F0A4C><table bordercolor=#676767><col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90B50, #290B50)"
73
'''{{{+1 1-5 볼륨 높이고!}}}'''}}} ||
74
||<-4><nopad> [youtube(튜토리얼 영상)] ||
75
||<-4><nopad> {{{#!folding [ 전체 튜토리얼 보기 ]
76
[[tuto1-5.png]]}}} ||
77
||<width=25%> '''BPM''' ||<-4> - ||
78
|| '''타일 수''' ||<-4> 18 ||
79
|| '''배우는 패턴''' ||<-4> 연속된 S굴곡 ||
80
이전 튜토리얼에서 배운 S굴곡이 연달아 나오면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익히는 튜토리얼이다.
81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82
■□■□|■□■□|■■□□|■■□□|■□■□|■□■□
83
84 84
=== 1-6 준비되셨나요? ===
85
||<table align=left><-4><tablewidth=400><colbgcolor=#2F0A4C><table bordercolor=#676767><col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90B50, #290B50)"
86
'''{{{+1 1-6 준비되셨나요?}}}'''}}} ||
87
||<-4><nopad> [youtube(튜토리얼 영상)] ||
88
||<-4><nopad> {{{#!folding [ 전체 튜토리얼 보기 ]
89
[[tuto1-6.png]]}}} ||
90
||<width=25%> '''BPM''' ||<-4> - ||
91
|| '''타일 수''' ||<-4> 16 ||
92
|| '''배우는 패턴''' ||<-4> 연속된 Z굴곡, 달팽이 타일 ||
93
1-5와 마찬가지로 이전 튜토리얼에서 배운 Z굴곡이 연달아 나오면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익히는 튜토리얼이다.
94
또한 처음으로 '''{{{#0000ff 달팽이}}}''' 타일이 등장하는데, 이 타일을 밟으면 행성의 공전 속도, 즉 BPM이 느려진다. 이 튜토리얼을 포함해서 대부분의 공식 레벨에서는 달팽이 타일이 BPM을 2의 거듭제곱으로 줄이지만, 커스텀 레벨에서는 아닌 경우도 존재한다.
95 95
== 1-X A Dance of Fire and Ice ==
96 96
||<table align=center><-4><tablewidth=500><colbgcolor=#2F0A4C><table bordercolor=#676767><col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90B50, #5C1E60)"
97 97
'''{{{+2 1-X A Dance of Fire and Ice}}}'''}}}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