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14 vs r15
... ...
43 43
||<-3> 1단계 감소량: '''25%'''[br]{{{#FFC45A 2단계 감소량: '''50%'''}}}[br]{{{#FF6A59 3단계 감소량: '''99%'''}}}[br]{{{#858585 감소량 (레벨의 70%~73% 구간): '''10%'''}}}[br]{{{#CB59FF 저주 감소량 (레벨의 73%~75% 구간): '''-10%'''}}} ||
44 44
||<bgcolor=#64317F><color=#fff> 미스 감소량 || '''{{{#E70C10 미스}}}'''가 발생하면 체력이 감소합니다. ||
45 45
||<-3> 1단계 감소량: '''50%'''[br]{{{#FFC45A 2단계 감소량: '''99%'''}}}[br]{{{#858585 감소량 (레벨의 70%~73% 구간): '''25%'''}}}[br]{{{#CB59FF 저주 감소량 (레벨의 73%~75% 구간): '''-10%'''}}} ||
46
||<bgcolor=#64317F><color=#fff> 세부 판정 || '''{{{#57E647 정확}}}'''이 발생하면 체력이 감소합니다. ||
46
||<bgcolor=#64317F><color=#fff> 세부 판정 || 제시된 ms보다 빠르게 또는 느리게 눌렀을 시 추가로 체력이 감소합니다. ||
47 47
||<-3> {{{#FFC45A 1단계 감소량 (레벨의 20%~28%구간): 720bpm±30°에서 벗어날 시 '''-0.52%'''}}}[br]{{{#FF6A59 2단계 감소량 (레벨의 28%~30%구간): 720~824bpm±20°에서 벗어날 시 '''-0.52%'''}}}[br]{{{#FFC45A 1단계 감소량 (레벨의 59%~70%구간): 984bpm±45°에서 벗어날 시 '''-0.32%'''}}} ||
48 48
||<bgcolor=#64317F><color=#fff> 침식 || 플레이에 상관없이 체력이 변동됩니다.[* 일정량 회복되거나 감소하는 것이 아닌 정해진 체력으로 변동된다.] ||
49 49
||<-3> 레벨의 48%구간: 체력 '''75%'''로 변동[br]레벨의 90%, 94%, 97%구간: 체력 '''8%'''로 변동 ||
... ...
51 51
||<-3> 레벨의 73%~75%구간에서 위 수치로 변경 ||
52 52
== 구간 ==
53 53
=== 0%~2% ===
54
동타 보정이 켜진 채로 100%의 체력을 가지고 게임이 시작된다.
54
동타 보정이 켜진 채로 100%의 체력을 가지고 게임이 시작된다. 체력 변동량은 기본이다.
55
> * '''{{{#57E647 정확}}}''' 회복량: 0.02%
56
> * '''{{{#EAEC46 준정확}}}''' 감소량: 8%
57
> * '''{{{#F66F47 비정확}}}''' 감소량: 25%
58
> * '''{{{#E70C10 미스}}}''' 감소량: 50%
59
> * '''{{{#CB59FF 세부 판정}}}''' : 없음
55 60
56 61
약 8초간 일시정지 후 상큼한 1680bpm 질주가 플레이어를 반겨준다. 바로 전 타일이 속도도 느릴 뿐더러 카운트다운도 존재하지 않아 반응하기 쉽지 않다. 최초 클리어자 [[Jipper]]는 이 시작을 급발진의 나쁜 사례로 평가하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57 62
58
곧바로 변속과 함께 가감속이 등장한다. 일부 박자가 동타 혹은 폴리리듬으로 들어가기까지 해서 타법을 짜기 쉽지 않다. 해당 구간의 대부분이 가감속이라 변속은 크게 체감되지 않는다.
63
곧바로 변속과 함께 가감속이 등장한다. 속도가 느려지기만 하거나 빨라지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느려졌다 빨라지는 것이기에 적응하기 힘들다. 또한 일부 박자가 동타 혹은 폴리리듬으로 들어가기까지 해서 난이도가 더욱 상승했다. 해당 구간의 대부분이 가감속이라 변속은 크게 체감되지 않는다.
59 64
60 65
2%에서 갑작스럽게 8키를 요구한 후 쉴 틈도 주지 않고 바로 동타와 삼동타의 깔끔한 처리를 요구하며 48비트와 함께 다음 구간으로 넘어간다.
66
=== 2%~14% ===
67
22.5도 동타가 등장함과 동시에 아래 두 체력 감소량이 증가한다.
68
> * '''{{{#57E647 정확}}}''' 회복량: 0.02%
69
> * '''{{{#EAEC46 준정확}}}''' 감소량: 8%--->{{{#FFC45A 25%}}}
70
> * '''{{{#F66F47 비정확}}}''' 감소량: 25%--->{{{#FFC45A 50%}}}
71
> * '''{{{#E70C10 미스}}}''' 감소량: 50%
72
> * '''{{{#CB59FF 세부 판정}}}''' : 없음
68 73
69
해당 구간 평가하면 전체으로 '''손의 속도 바꾸는 능력'''요구된다.
70
=== 2%~9% ===
72
체력 감소량이 증가한다.
74
* '''{{{#EAEC46 준정확}}}''' 감소량: 8%--->25%
76
* '''{{{#F66F47 비정확}}}''' 감소량: 25%--->50%
74
레벨의 2%부터 여러 패턴이 섞인 구간 등장한다. 16박 중 12박은 비교깔끔한 복합적인 패턴이, 4박은 빠른 속도 질주가 등장하며 것이 총 8번 반복된다.
74 75
75
16박 중 12박 복합적인 패턴이, 4박은 빠른 속도의 질주가 등장 이것이 계속 반복되구간이다. 비교적 쉬워보이는 패턴 240bpm이라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속도 가지고 있어 완벽하게 넘기기까지 시간다. 질주 경우 일자로 펴져있는 보편적인 질주가 아닌 흔히 개박이라 할 수 있는 꼬인 형태를 가지고 있어 타법을 힘들다.
76
16박 중 12박 차지 는 패턴 240bpm이라는 빠른 속도 엇박과 동타, 삼동타, 셋잇단 동타가 오면서 플레어의 실수를 유도한다. 16박 중 4박을 차지하고 있는 질주 일자로 펴져있는 보편적인 질주가 아닌 흔히 개박이라 할 수 있는 꼬인 형태를 가지고 있어 아무리 숙련된 플레이어라도 연습하지 않고서는 넘어가쉽지 않다.
76 77
77
레벨의 특성상 체력 관리가 크게 중요한데 해당 구간은 극초반이면서 체력 감소량또한 높은 수치를 가지고 있기에 사실상 완벽한 플레이를 권장하는 구간이다.
78
레벨의 특성상 체력 관리가 크게 중요한데 해당 구간은 극초반이면서 체력 감소량또한 높은 수치를 가지고 있기에 사실상 레벨의 2%~9%는 완벽한 플레이를 권장하는 구간이다. 때문에 구간의 난이도는 보이는 것 보다 더욱 높다.
78 79
79
해당 구간을 하면 전체적으로 '''박자를 쪼개'''요구된다.
80
=== 9%~14% ===
81
체력 감소량 기본으로 돌아온다.
80
이후 9%에서 초살[* 레벨의 초반 중 어려운 부분]이라고 불리구간에 들어가면서 체 감소량기본으로 돌아온다.
81
> * '''{{{#57E647 정확}}}''' 회복량: 0.02%
82
> * '''{{{#EAEC46 준정확}}}''' 감소량: {{{#FFC45A 25%}}}--->8%
83
> * '''{{{#F66F47 비정확}}}''' 감소량: {{{#FFC45A 50%}}}--->25%
84
> * '''{{{#E70C10 미스}}}''' 감소량: 50%
85
> * '''{{{#CB59FF 세부 판정}}}''' : 없음
82 86
83
초살으로 불리는 구간으로 매우 빠른 손속을 요구한다. 48비트에 동타와 삼동타가 끼어있는 형태인데 동타의 위치가 보편적인 레벨들과는 사뭇 다른 곳에 자리잡고 있어 햇갈리기 다. 역시나 체력 관리를 위해서 48비트와 동타의 구분이 매우 필요하다.
87
초살 240bpm 기반 48비트에 동타와 삼동타가 끼어있는 형태인데, 동타의 위치가 보편적인 레벨들과는 사뭇 다른 곳에 자리잡고 있어 상당히 골치 아픈 구간이다. 역시나 체력 관리를 위해서 48비트와 동타의 구분이 필요하다.
84 88
85
48비트 질주는 14%에서 끝나며 곧바로 720bpm 기반의 감속이 등장한다. 너무나 급격한 변화로 인해 레벨에 익숙해지더라도 해당 구간만은 완벽하게 넘길것이라 보장할다. 곧바로 2304bpm 트릴과 함께 다음 구간으로 넘어간다.
86
88
해당 구간를 평가하면 전체적으로 '''트릴속에서 동타를 구분하는 능력'''이 요구된다.
89
48비트 질주는 14%에서 끝나며 곧바로 720bpm 기반의 감속이 등장한다. 너무나 급격한 변화로 인해 레벨에 익숙해지더라도 해당 구간만은 익숙해 지지 않을다. 곧바로 2304bpm 트릴과 함께 다음 구간으로 넘어간다.
88 90
=== 14%~20% ===
89
체력 감소량이 증가한다.
90
* '''{{{#E70C10 미스}}}''' 감소량: 50%--->99%
91
구간이 시작하면 미스 감소량이 증가한다.
92
> * '''{{{#57E647 정확}}}''' 회복량: 0.02%
93
> * '''{{{#EAEC46 준정확}}}''' 감소량: 8%
94
> * '''{{{#F66F47 비정확}}}''' 감소량: 25%
95
> * '''{{{#E70C10 미스}}}''' 감소량: 50%--->{{{#FFC45A 99%}}}
96
> * '''{{{#CB59FF 세부 판정}}}''' : 없음
91 97
92
별 모양의 개박 타일이 반복되며 중간중간 육각 개박 타일이 등장한다. 해당 패턴들은 전부 720bpm 기반 복합 폴리리듬으로 패턴으로만 따져도 상당한 실력이 요구된다. 하지만 해당 구간이 어려운 이유에는 하나가 더 있는데...
98
별 모양의 개박 타일이 반복되며 중간중간 육각 개박 타일이 등장한다. 해당 패턴들은 전부 720bpm 기반 복합 폴리리듬으로 패턴으로만 따져도 상당한 실력이 요구된다.[* 보편적인(?) 폴리리듬의 형태와 다르게 엇박에도 동타가 위치해 있어 동타 구분 능력이 매우 뛰어나야 한다는 점이 난이도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 하지만 해당 구간이 어려운 이유에는 하나가 더 있는데...
93 99
94 100
그것은 바로 읽기 힘든 채보. 안그래도 읽기 힘든 별모양에 중간중간 육각형으로도 형태가 바뀌며 플레이어의 리딩을 방해한다. 이런 어디에서도 본 적 없는 패턴이 등장한 이유는 레벨의 제작자가 해당 패턴에서 플레이어의 암기력이 요구되기를 바랬기 때문이다.
95 101
96
해당 구간을 평가하전체적으로 '''암기력'''이 요구된다.
97
=== 20%~28% ===
102
폴리리듬이 끝나다음 구간으로 넘어간다.
103
=== 20%~31% ===
98 104
체력 감소량이 기본으로 들어오고 세부 판정이 등장한다.
99
* '''세부 정''': 없음 ---> 720bpm 기준 ±30° 이상 벗어나면 0.52%감소
105
> * '''{{{#57E647확}}}''' 회복량: 0.02%
106
> * '''{{{#EAEC46 준정확}}}''' 감소량: 8%
107
> * '''{{{#F66F47 비정확}}}''' 감소량: 25%
108
> * '''{{{#E70C10 미스}}}''' 감소량: {{{#FFC45A 99%}}}--->50%
109
> * '''{{{#CB59FF 세부 판정}}}''' : 없음--->{{{#FFC45A 720bpm 기준 ±30° 이상 벗어나면 0.52% 감소}}}
100 110
101
비교적 쉬운 구간이다. 복합 동타 속에 위치한 240도와 120도 타일은 한 손의 클릭을 지연시켜 세부 판정 좋게 나오지 못하도록 한다. 중간중간 등장하는 1도 동타들은 대부분 개박에 위치하고 있어 정확하게 넘길것을 요구한다.
111
비교적 쉬운 구간이다. 다만 복합 동타 속에 위치한 240도와 120도 타일은 한 손의 클릭을 지연시켜 세부 판정 망치도록 유도체력을 깎고, 중간중간 등장하는 1도 동타들은 대부분 개박에 위치하고 있어 채보의 순수 난이도를 상승시킨다.
102 112
103 113
마지막에 등장하는 48비트 질주와 함께 다음 구간으로 넘어가는데, 해당 48비트 질주는 최초 클리어자 [[Jipper]]가 계속해서 체력을 깎인 구간이기도 하다. 하지만 판정을 보아하니 절대로 깎일 판정이 아니었는데...
104 114
105 115
해당 레벨의 제작자 [[한가지]]가 문서 작성중 해당 파트를 확인해 본 결과 2287타일부터 2294타일까지가 판정에 관계 없이 체력이 깎이는 것을 발견했다(...).[* 이유는 아직 밝혀내지 못했다. 최초 클리어자에겐 미안할 따름이다.]
106
=== 28%~31% ===
107
세부 판정이 강화된다.
108
* '''세부 판정''': 720bpm 기준 ±30° 이상 벗어나면 0.52% 감소 ---> 720~824bpm 기준 '''±20°''' 이상 벗어나면 0.52% 감소
109 119
110
앞의 구간과 슷한 특징을 지니고 있으나 세부 판정이 '''매우 좁아진다'''. 레벨의 제작자도 체력이 깎이지 않을 것을 상정하지 않고 제작구간이다. 해당 구간에 들어왔는데 체력이 8%정도밖에 남아있지 않는면 --신에게 기도할 것을 권유한다.--
120
48 질주가 28% 구간부터는 세부 판정이 한 강화된다.
121
> * '''{{{#57E647 정확}}}''' 회복량: 0.02%
122
> * '''{{{#EAEC46 준정확}}}''' 감소량: 8%
123
> * '''{{{#F66F47 비정확}}}''' 감소량: 25%
124
> * '''{{{#E70C10 미스}}}''' 감소량: 50%
125
> * '''{{{#CB59FF 세부 판정}}}''' : {{{#FFC45A 720bpm 기준 ±30° 이상 벗어나면 0.52% 감소}}} ---> {{{#FF6A59 720~824bpm 기준 ±20° 이상 벗어나면 0.52% 감소}}}
111 126
127
앞의 구간과 비슷한 특징을 지니고 있으나 세부 판정이 '''매우 좁아진다'''. 레벨의 제작자도 체력이 깎이지 않을 것을 상정하지 않고 제작한 구간이다. 해당 구간에선 보통 8%정도[* 클리어자 [[Jipper]] 기준.]의 체력이 손실되는데, 다음 구간은 체력 회복 구간이라고도 불리는 사실상 체크포인트기에 8% 이상의 체력을 남겨 두었는지 검문하는 구간이라고 보면 된다.
128
114 129
이후 세부 판정이 사라지며 간단한 질주와 함께 다음 구간으로 넘어간다.
115 130
=== 31%~48% ===
116
흰색 배경과 함께 끝없이 떨어다. 처음에는 4키 기반으로 423242324242[* 주손은 마지막 키를 엇박으로 친다.]를 반복하다 준정확과 비정확 감소이 99%를 달성하면 복잡한 패턴의 질주가 등장한다.
131
체력 변동량.
132
> * '''{{{#57E647 정확}}}''' 회복량: 0.02%
133
> * '''{{{#EAEC46 준정확}}}''' 감소량: 8%
134
> * '''{{{#F66F47 비정확}}}''' 감소량: 25%
135
> * '''{{{#E70C10 미스}}}''' 감소량: 50%
136
> * '''{{{#CB59FF 세부 판정}}}''' : {{{#FF6A59 720~824bpm 기준 ±20° 이상 벗어나면 0.52% 감소}}}--->없음
117 137
118
해당 구간은 체력 회복 구간 불릴 만큼 쉬운 난이도를 가지고 있[* 896bpm 엇박동타에 삼동타에 폴리리듬까지 섞여있해당 질주 구간이 절대적으로 쉬운건 아니다. 다만 다른 구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쉬운 난이도라고는 할 수 있다.]. 39% 구간부터 준정확과 비정확 감소량이 99%이 되면서 한번이라도 실수 순간 다음 구간[* 특히 마지막 가감속]은 전부 정확으로 넘겨야하는 대참사가 생긴다. 이 또체력이 꽉 채워져 있다는 하에 성립한다.
138
흰색 배경과 함께 끝없떨어진. 처음에는 4키 기반으로 423242324242[* 주손은 마지막 키를 엇박으로 다.] 반복하다 준정확과 비정확 감소량이 2단계를 넘어 3단계를 달성 복잡패턴의 질주등장한다.
119 139
120
이후 47%에서 체력 감소량 아래처럼 변동되며 폴리리듬과 가감속이 구간의 마지막을 장식한다.
140
체력 감소량 아래 같다. 순서대로 35%, 39% 구간.
141
> * '''{{{#57E647 정확}}}''' 회복량: 0.02%
142
> * '''{{{#EAEC46 준정확}}}''' 감소량: 8%--->{{{#FFC45A 25%}}}
143
> * '''{{{#F66F47 비정확}}}''' 감소량: 25%--->{{{#FFC45A 50%}}}
144
> * '''{{{#E70C10 미스}}}''' 감소량: 50%
145
> * '''{{{#CB59FF 세부 판정}}}''' : 없음
146
> ----
147
> * '''{{{#57E647 정확}}}''' 회복량: 0.02%
148
> * '''{{{#EAEC46 준정확}}}''' 감소량: {{{#FFC45A 25%}}}--->{{{#FF6A59 99%}}}
149
> * '''{{{#F66F47 비정확}}}''' 감소량: {{{#FFC45A 50%}}}--->{{{#FF6A59 99%}}}
150
> * '''{{{#E70C10 미스}}}''' 감소량: 50%
151
> * '''{{{#CB59FF 세부 판정}}}''' : 없음
121 152
122
'''39%~47%'''(복잡패턴의 질주)
123
* '''{{{#EAEC46 준정확}}}''' 감소량: 25%--->'''{{{#FF0000 99%}}}'''
125
* '''{{{#F66F47 비정확}}}''' 감소량: 50%--->'''{{{#FF0000 99%}}}'''
153
해당 구간은 체력 회복 구간이라 불릴 만큼 쉬운 난이도를 가지고 있지만[* 896bpm에 엇박동타에 삼동타에 폴리리듬까지 섞여있는 해당 질주 구간이 절대적으로 쉬운건 아니다. 다만 다른 구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쉬운 난이도라고는 할 수 있다.] 39% 구간부터는 준정확과 비정확 감소량이 99%이 되기 때문에 번이라도 실수하는 순간 다음 구간[* 특히 마지막 가감속]은 전부 정확으로 넘겨야하는 대참사가 생긴다. 이 또한 체력이 꽉 채워져 있다는 가정 하에 성립하기에 사실상 완벽한 플레이 구간이라고 볼 수 있다.
125 154
126
'''47%~48%'''(가감속)
127
* 전체 리셋
128
* '''{{{#E70C10 미스}}}''' 감소량: 50% --->'''{{{#FF0000 99%}}}'''
155
이후 47%에서 체력 감소량이 아래처럼 변동되며 폴리리듬과 가감속이 1파트라고 볼 수 있는 0~48%의 마지막을 장식한다.
156
> * '''{{{#57E647 정확}}}''' 회복량: 0.02%
157
> * '''{{{#EAEC46 준정확}}}''' 감소량: {{{#FF6A59 99%}}}--->8%
158
> * '''{{{#F66F47 비정확}}}''' 감소량: {{{#FF6A59 99%}}}--->25%
159
> * '''{{{#E70C10 미스}}}''' 감소량: 50%--->{{{#FFC45A 99%}}}
160
> * '''{{{#CB59FF 세부 판정}}}''' : 없음
161
=== 48%~59% ===
162
2파트 진입과 동시에 체력 고정과 침식으로 인해 체력이 75%로 고정된다.
163
> * '''{{{#CB59FF 침식}}}''' 지정 체력: 75%
129 164
130
해당 구간 평가하면 전체적으'''체력'''과 '''정신력'''요구된다.
131
=== 48%~51% ===
133
체력 고정과 침식으로 인해 체력이 75%로 고정된다.
135
* '''{{{#CB59FF 침식}}}''' 지정 체력: 75%
165
짧게 쉬는 구간 등장한다. 곧바후살등장하기에 마음의 준비를 해야 한다.
134 166
135
중살 직전 쉬는 구간이다.
136
=== 51%~59% ===
137
동타 보정이 해제되며 체력 감소량 증가한다.
138
* '''{{{#F66F47 비정확}}}''' 감소량: 25%--->50%
167
51% 구간의 일시정지에서 체력 고정과 동타 보정 해제되며 체력 감소량이 증가한다.
168
> * '''{{{#57E647 정확}}}''' 회복량: 0.02%
169
> * '''{{{#EAEC46 준정확}}}''' 감소량: 8%
170
> * '''{{{#F66F47 비정확}}}''' 감소량: 25%--->{{{#FFC45A 50%}}}
171
> * '''{{{#E70C10 미스}}}''' 감소량: 50%
172
> * '''{{{#CB59FF 세부 판정}}}''' : 없음
139 173
140
최초 클리어자 [[Jipper]]가 하디스트로 꼽은 구간이다. 984bpm이라는 기겁할 속도에 중간중간 등장하는 별모양의 유사 4동타, 비직관적인 꼬인 셋잇단 채보와 이해할 수 없는 개박 등이 어우러 채보 자 난이도 하늘을 찌른다. 하지만 이에 그칠세라 2파트라고 할 수 있는 48% 이후의 극초반 구간이라 체력 관리까지 신경써야 하는데 비정확 감소량까지 증가으니 하디스트로 꼽힐 하다.
174
해당 51%~59% 구간은 최초 클리어자 [[Jipper]]가 하디스트로 꼽은 구간이다. 984bpm이라는 말도 안되는 속도에 중간중간 등장하는 별모양의 유사 4동타로 인한 2키기반 강제, 비직관적인 꼬인 셋잇단 채보와 이해할 수 없는 개박 등이 어우러지면서 기믹을 제외하더라도 난이도 하늘을 찌른다. 이에 그칠세라 2파트라고 할 수 있는 48% 이후의 구간중 극초반이라 뒤를 위해선 체력 관리까지 신경써야 하는데 비정확 감소량 증가해 버렸으니 하디스트로 꼽힐 밖에.
141 175
142 176
57% 이후부턴 질주 내에 270도가 생기고 개박도 등장하면서 그야말로 완벽한 플레이 불가 파트가 되어버렸다. 해당 질주가 끝남과 동시에 다음 구간으로 넘어간다.
177
=== 59%~69% ===
178
앞에서 질주가 끝남과 동시에 동타 보정이 적용되며 체력 감소량이 기본으로 들어오고 세부 판정이 등장한다.
179
> * '''{{{#57E647 정확}}}''' 회복량: 0.02%
180
> * '''{{{#EAEC46 준정확}}}''' 감소량: 8%
181
> * '''{{{#F66F47 비정확}}}''' {{{#FFC45A 50%}}}--->감소량: 25%
182
> * '''{{{#E70C10 미스}}}''' 감소량: 50%
183
> * '''{{{#CB59FF 세부 판정}}}''' : 없음 ---> {{{#FFC45A 984bpm 기준 ±45° 이상 벗어나면 0.32%감소}}}
150 184
151
0%~48%가 기 플레편적력과 다른 능력을 주로 요구했다면, 51% 후부턴 기존 의 보편적인 능력 수 있는 '''2키 기반''', '''4키 기반''', '''개박 처리''' 주로 요구한다[* 내추럴로 어려운간이라고 보면 이해가 쉽다.].
152
=== 59%~70% ===
154
동타 보정이 적용되며 체력 감소량이 기본으로 들어오고 세부 판정이 등장한다.
156
* '''세부 판정''': 없음 ---> 984bpm 기준 ±45° 이상 벗어나면 0.32%감소
185
바로 앞 구간에 버금 난이도의 구간이다. 최초 클리어가 되전까지 모두가 한입 모아 하디스트 구간라고 말한 구간이기도 한데, 앞과 같은 984bpm임에도 불구하고 동타 정과 세부 판정으로 앞의 질주보다 더욱 뛰어난 체력과 동타 구분 능력을 요구하기 때문다. 해당특징인 '보편적이 않은 배치' 때문에 질주가 더욱 복잡해졌음은 물론 중간중간 장하는 폴리리듬은 그야말플레이 도전 욕 사그라뜨린다.
155 186
156
바로 구간에 버금가는 난이도의 구간이. 최초 클리 되기 전까지 모두가 한입 모아 하디스트 구간이 말했었는데, 앞과 같은 984bpm이지만 동타 보정과 세부 판정으로 인해 동타 구분이나 체력이 뛰어나지 못한다면 시도조차 불가간이기 때문이다. 한 해당 레벨특징인 '보편적이지 않은 배치' 때문에 질주가 더욱 복잡해졌음은 물론 중간중간 등장 폴리리듬은 그야말플레이어의 도전 욕구를 사그라뜨렸다.
187
질주를 '온갖 식재료를넣은 탕'[* 4 기반, 2키 기반, 손속 변환, 개박 온갖력을 기 때문.]으로 비유다면 해당 구간질주는 '고추 기름으로만 가득 채운 마라탕'[* 2키 기반 또는 동타 구분 능력을 극한으로 요구 때문.]으비유할 있을 것이다.
188
=== 70%~79% ===
189
폴리리듬의 등장과 함께 세부 판정이 사라지며 체력 감소량이 일시적으로 줄어든다.
190
> * '''{{{#57E647 정확}}}''' 회복량: 0.02%
191
> * '''{{{#EAEC46 준정확}}}''' 감소량: 8%--->'''{{{#858585 4%}}}'''
192
> * '''{{{#F66F47 비정확}}}''' 감소량: 25%--->'''{{{#858585 10%}}}'''
193
> * '''{{{#E70C10 미스}}}''' 감소량: 50% --->'''{{{#858585 25%}}}'''
194
> * '''{{{#CB59FF 세부 판정}}}''' : {{{#FFC45A 984bpm 기준 ±45° 이상 벗어나면 0.32%감소}}} ---> 없음
157 195
158
51%~70% 구간을 버텨냈 축하한, 가능성 이다.
159
=== 70%~73% ===
161
세부 판정이 사라지며 체력 감소량이 일시적으로 줄어든다.
163
* '''{{{#EAEC46 준정확}}}''' 감소량: 8%--->'''{{{#858585 4%}}}'''
165
* '''{{{#F66F47 비정확}}}''' 감소량: 25%--->'''{{{#858585 10%}}}'''
167
* '''{{{#E70C10 미스}}}''' 감소량: 50% --->'''{{{#858585 25%}}}'''
196
셋잇단 복합 폴리리듬[* 레벨의 70%~71% 구간.]과 661bpm포함한 셋잇단 섯잇단 폴리리듬[* 레벨의 71%~73% 구간.]이 반겨준. 앞의 폴리듬[* [[#s-3.3|레벨14%~20% 구간.]]]을 넘길 실력 그나마 쉽게 넘길 수 있는 구간다. 자가 해당 구간에만 체력 감소량을 일시적으로 줄어들게 해서 비교적 평온한 마음으로 플레할 수 있다.
164 197
165
셋잇단 복합 폴리리듬과 661bpm포함한 셋잇단 다섯잇단 폴리리듬 반겨준다. 앞의 14%~20% 구간을 넘길 실력이면 그나마 쉽게 넘길 수 있는 구이다. 제작자가 구간에만 체력 감소 일시적으로 줄어들게 해서 비교적 평온한 마으로 플레이할 다.
166
=== 73%~79% ===
167
저주에 의해 체력 변화 음수가 된다.
168
* '''{{{#57E647 정확}}}''' 회복량: 0.02% --->'''{{{#CB59FF -0.04%}}}'''
169
* '''{{{#EAEC46 준정확}}}''' 감소량: 4%--->'''{{{#CB59FF -4%}}}'''
170
* '''{{{#F66F47 비정확}}}''' 감소량: 10%--->'''{{{#CB59FF -10%}}}'''
171
* '''{{{#E70C10 미스}}}''' 감소량: 25% --->'''{{{#CB59FF -10%}}}'''
198
폴리리듬을 전부 넘기고 세번째 폴리리듬 도달하면 그 저주에 해 체력 변화 음수 다.
199
> * '''{{{#57E647 정확}}}''' 회복량: 0.02% --->'''{{{#CB59FF -0.04%}}}'''
200
> * '''{{{#EAEC46 준정확}}}''' 감소: 4%--->'''{{{#CB59FF -4%}}}'''
201
> * '''{{{#F66F47 정확}}}''' 감소량: 10%--->'''{{{#CB59FF -10%}}}'''
202
> * '''{{{#E70C10 미스}}}''' 감소량: 25% --->'''{{{#CB59FF -10%}}}'''
203
> * '''{{{#CB59FF 세부 판정}}}''' : 없음
172 204
173 205
감속하는 복합 폴리리듬이다. 바로 앞 구간보다는 쉬운 패턴을 가지고 있다.
174 206
175
사실 [[#s-3.7|31%~48%]]의 '체력 회복 구간' 타이틀과 [[#s-3.9|51%~59%]]의 '완벽한 플레이 불가 파트' 타이틀은 해당 구간이 가져야 할 수도 있다. 앞의 극악무도한 채보로 깎여나간 체력을 해당 구간에서 미스로 회복하지 않는 한 뒷부분을 감당할 수 없게 되버리기 때문이다.[* 저주에 의해 미스를 발생시키면 체력이 회복된다. --사실상 저주가 아니라 축복--]
207
사실 [[#s-3.5|31%~48%]]의 '체력 회복 구간' 타이틀과 [[#s-3.6|51%~59%]]의 '완벽한 플레이 불가 파트' 타이틀은 해당 구간이 가져야 할 수도 있다. 앞의 극악무도한 채보로 깎여나간 체력을 해당 구간에서 미스로 회복하지 않는 한 뒷부분을 감당할 수 없게 되버리기 때문이다.[* 저주에 의해 미스를 발생시키면 체력이 회복된다. --사실상 저주가 아니라 축복--]
176 208
177 209
이후 75%~79%는 쉬는 파트로 체력 고정에 의해 체력이 변동되지 않는다.
178
=== 79%~85% ===
179
체력 고정이 해제되며 체력 감소량이 증가한다.
180
* '''{{{#EAEC46 정확}}}''' 감소량: 8%--->'''{{{#FF0000 99%}}}'''
181
* '''{{{#F66F47 정확}}}''' 감소량: 25%--->'''{{{#FF0000 99%}}}'''
210
=== 79%~90% ===
211
1280bpm 질주 구간부터 체력 고정이 해제되며 체력 감소량이 증가한다.
212
> * '''{{{#57E647 정확}}}''' 회복량: 0.02%
213
> * '''{{{#EAEC46 정확}}}''' 감소량: 8%--->{{{#FF6A59 99%}}}
214
> * '''{{{#F66F47 비정확}}}''' 감소량: 25%--->{{{#FF6A59 99%}}}
215
> * '''{{{#E70C10 미스}}}''' 감소량: 50%
216
> * '''{{{#CB59FF 세부 판정}}}''' : 없음
182 217
183 218
뒷 구간 때문에 사실상 완벽한 플레이를 요구하는 구간이다. 패턴 자체는 쉬운 난이도를 가지고 있지만 82%의 셋잇단 기반 삼동타를 조심해야 한다.[* 원래 앞부분은 그냥 삼동타가 아니라 폴리리듬이었지만, 10키 제한으로 인해 뒷부분을 일반적인 타법인 6 3 대신 5 4로 쳐야되는 일이 발생, 플레이어 체감상 운으로 넘어가는 구간이 되어버려 합의를 통해 채보가 변경되었다.]
184 219
185
짧은 개박 함께 다음 구간으로 넘어간다.
186
=== 85%~90% ===
187
준정확 비정확 감소량 기본으로 돌아오고 미스 감소량이 증가한다.
188
* '''{{{#E70C10 미스}}}''' 감소량: 50% --->'''{{{#FF0000 99%}}}'''
220
질주가 끝나면 짧은 개박 이후 85% 구간부터 체력 감소량이 아래처럼 변동한다.
221
> * '''{{{#57E647 정확}}}''' 회복량: 0.02%
222
> * '''{{{#EAEC46 준정확}}}''' {{{#FF6A59 99%}}}--->감소량: 8%
223
> * '''{{{#F66F47 비정확}}}''' {{{#FF6A59 99%}}}--->감소량: 25%
224
> * '''{{{#E70C10 미스}}}''' 감소량: 50%--->{{{#FFC45A 99%}}}
225
> * '''{{{#CB59FF 세부 판정}}}''' : 없음
189 226
190
시작부터 다소 무난해 보일 수 있는 패턴의 등장에 가소롭게 볼 수 있지만 절대 방심해선 안된다. 해당 구간의 하디스트는 87%부터로 '''무려 2560bpm의 셋잇단 기반 폴리리듬이 등장한다'''. [[Jipper]]의 최초 클리어 당시 해당 구간에서 75%가 넘는 체력을 삭감당하는 굉장히 위험한 상황이 펼쳐지며 어째서 [[#s-3.13|79%~85%]]구간이 완벽한 플레이를 요구하는지를 제대로 보여줬다.
227
시작부터 다소 무난해 보일 수 있는 패턴의 등장에 가소롭게 볼 수 있지만 절대 방심해선 안된다. 해당 구간의 하디스트는 87%부터로 '''무려 2560bpm의 셋잇단 기반 폴리리듬이 등장한다'''. [[Jipper]]의 최초 클리어 당시 해당 구간에서 75%가 넘는 체력을 삭감당하는 굉장히 위험한 상황이 펼쳐지며 어째서 앞의 79%~85%구간이 완벽한 플레이를 요구하는지를 제대로 보여줬다.
191 228
192 229
이후 90%에서 폴리리듬이 끝나며 짧은 10키 질주가 등장하는데, 해당 짧은 구간에서 침식이 일어나 아래 체력으로 변동된다.[* 체력 고정은 침식과 함께 활성화되기에 따로 적지 않았다.]
193
* '''{{{#CB59FF 침식}}}''' 지정 체력: 8%
230
> * '''{{{#CB59FF 침식}}}''' 지정 체력: 8%
194 231
=== 90%~100% ===
195 232
체력 감소량이 전부 기본으로 돌아오지만 앞의 침식 때문에 위태로운 상황이 펼쳐진다. 체력 8%는 준정확 감소량으로, 첫 타일에 감소되지 않는 한 구간별 준정확 판정 단 2번을 허락하는 양이다. 침식은 앞의 90% 구간을 포함해 총 3번 일어난다.
196 233
197 234
마지막 구간의 패턴은 97%의 64비트 질주를 제외하면 개박의 형태를 띄고 있는데, 앞 구간에서의 개박과 다르게 정박을 얼추 지키면서 박자가 틀어져 있어 박자를 기억해내지 못하는 순간 죽어버릴 수 있는 굉장히 위험한 구간이다. --이런 게 레벨의 마지막에 들어가있다.--
198 235
199
96%에 있는 깨알 력 고정을 지나 97%에 도달하면 레벨은 거의 끝나간다. 해당 구간부턴 64비트 질주라는 단순한 패턴만 등장하며 회복량도 25배나 증가해 왠만한 실력자라면 절대 죽지 않을 것이다. 그렇게 100%까지 달린다면 레벨은 클리어된다.
236
96%에 있는 짧은 력 고정을 지나 97%에 도달하면 레벨은 거의 끝나간다. 해당 구간부턴 64비트 질주라는 단순한 패턴만 등장하며 회복량도 25배나 증가해 왠만한 실력자라면 절대 죽지 않을 것이다. 그렇게 100%까지 달린다면 레벨은 클리어된다.
200 237
201
'''90%'''
202
* '''{{{#CB59FF 침식}}}''' 지정 체력: 8%
238
아래는 순서대로 90%, 94%, 97% 구간이다.
239
> * '''{{{#CB59FF 침식}}}''' 지정 체력: 8%
240
> ----
241
> * '''{{{#CB59FF 침식}}}''' 지정 체력: 8%
242
> ----
243
> * '''{{{#CB59FF 침식}}}''' 지정 체력: 8%
244
> * '''{{{#57E647 정확}}}''' 회복량: 0.02% --->'''{{{#F66F47 0.5%}}}'''
203 245
204
'''94%'''
205
* '''{{{#CB59FF 침식}}}''' 지정 체력: 8%
206
207
'''97%'''
208
* '''{{{#CB59FF 침식}}}''' 지정 체력: 8%
209
* '''{{{#57E647 정확}}}''' 회복량: 0.02% --->'''{{{#F66F47 0.5%}}}'''
210
211 253
== 여담 ==
212 254
* [[Jipper]]가 연습 5일만에 체력 무적 포함 6데스를 기록했다.
213 255
* 마지막 64비트 질주를 완벽한 플레이로 넘긴다면 레벨 클리어시 체력바가 꽉 차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