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1 vs r2
......
100100
101101결국 2012년에는 공식적으로 레드박스는 로고에서 사라졌다. 디자인 면에서도 불호가 조금 있었고, 결정적으로 '''MBC가 빨갱이 방송이 됐다'''며 흔들어댄 탓도 컸다는 세간의 견해도 있었다. 이미 2005년 [[동아일보|동아닷컴]]에서 역술인까지 동원해가며 비난한 흔적을 지금도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donga.com/news/Culture/article/all/20051208/8255029/9|#]] 이에 MBC 측은 2010년 하반기에 소디엄파트너스를 CI 대행사로 선정하고 편성-보도-영상미술-홍보 4개 국이 주축이 되어 사내외적으로 폭넓은 의견 수렴과 연구를 진행, 이리하여 2011년 12월 창사 50주년 기념식에서 리브랜딩된 위 CI를 선보이고 2012년 신정부터 적용했다.[* 출처: <MBC연감 2012(CD롬)> p32.] 그런고로 구 여의도 사옥 앞에 있던 정육면체 조형물 색깔도 원래 빨간색이던 것을 연녹색으로 교체하기에 이른다.
102102
103==== 5세대 2차 개량형(5.5) (2023 ~ ) ====
104||<tablebordercolor=#29153c><bgcolor=#6706d3><table width=600> {{{#FFF 상표 영문}}}[br]{{{-2 {{{#FFF (2023년 4월~현재)}}}}}} ||
105||<width=50%><bgcolor=white,#1c1d1f> [[파일:MBC 로고.svg|width=32%&theme=light]][[파일:MBC 로고 화이트.svg|width=32%&theme=dark]] ||
106103
107 * 사용 기간: [[2023년]] [[4월 6일]] ~ '''현재''' ([age(2023-04-06)]년) ,,(초기 버전 로고 사용까지 합산 시 총 '''[age(2005-01-03)]년'''),,
108
109[[안형준(기자)|안형준]] 사장 취임 이후 2023년 4월부터 MBC 홈페이지에서 배포하는 공식 로고가 변경되었다.
110
111공식적으로 홈페이지에서 배포하는 색상은 검은색이지만, [[MBC 무브먼트]] 이후로는 색을 고정시키지 않고 다양한 색상의 로고를 사용하고 있다.
112
113현행 CI가 2024년 1월 18일 이후에도 유지됨에 따라 5세대 로고[* 2005년부터의 초기 버전부터 현행 개량 로고 사용까지의 포함]가 4세대 로고의 19년을 제치고 역대 MBC CI 중 가장 역사가 긴 로고가 되었다.
114
115||<nopad> [[파일:20211009_193742.jpg|width=100%]]||
116|| 2021년 한글날 로고부터 국문 로고에 '''새로움체'''를 사용하고 있다. ||
117
118[[파일:kjm.png]]
119||<nopad> [[파일:Screenshot_20250101_193341_YouTube.jpg|width=100%]] ||
120||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로 인한 [[국가애도기간]]으로 [[전라남도]]를 관할하는 [[광주문화방송]]에서 독자 로고를 달았다. ||
121104
122105==== [[MBC 무브먼트]](2018. 6. 2.~) ====
123106[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BC 무브먼트)]
124107
125108[[분류:문화방송|로고]][[분류:방송 디자인]]
126109
127110[include(틀:나무위키에서 가져옴,title=틀:문화방송/로고,rev=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