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목차] |
---|
2 | | [clearfix] |
---|
3 | | == 개요 == |
---|
4 | | [[문화방송|MBC]]의 [[로고]]를 정리한 문서. MBC 로고는 약 9번 변경되었는데 이는 타 지상파 방송사에 비해 로고를 자주 바꾸는 편이다. 비슷한 시기에 개국한 [[한국방송공사|KBS]]가 로고를 단 2번 밖에 바꾸지 않은 것을 생각하면 로고 변경 횟수가 크게 비교된다. [[SBS]]와 [[한국교육방송공사|EBS]]는 MBC에 비해 역사가 짧아 로고의 변경 횟수가 많지 않다. |
---|
5 | 1 | |
---|
6 | | [[이날치]]가 노래한 [[https://www.youtube.com/watch?v=0-nuKtn4zIg|MBC 창사 60주년 스페셜 브랜드송 '좋구나 MBC']]의 영상 끝부분에 MBC의 로고 변화를 볼 수 있다. |
---|
7 | | |
---|
8 | | == 역대 로고 == |
---|
9 | | === 1세대 (1961. 12. 2. ~ 1969. 6.) === |
---|
10 | | [[파일:MBC 로고(1961-1969).svg|width=210&theme=light]][[파일:MBC 로고(1961-1969) 화이트.svg|width=210&theme=dark]] |
---|
11 | | MBC 창사 후 8년간 쓰였던 로고이다. 1세대 로고이다보니 이 시기 방송자료가 남아있지 않아 사진으로만 볼 수 있다. TV 개국 이전이니 더욱 보기 어려운 것. 8년 4개월간 쓰였던 로고. [[https://www.hanauction.com/htm/off_auction_read.htm?id=42270&off_id=110&page=1&ac_num=38&PHPSESSID=e5333e6217088cce9cb0fc52962493ee|HLKV로 써진 버전]] |
---|
12 | | |
---|
13 | | === 2세대 (1969. 7. ~ 1981. 11.) === |
---|
14 | | [[파일:MBC 로고(1969-1974).svg|width=200&theme=light]][[파일:MBC 로고(1969-1974) 화이트.svg|width=210&theme=dark]] |
---|
15 | | * 사용 기간: [[1969년]] [[7월 1일]] ~ [[1974년]] [[7월 24일]][* TV 개국과 함께 사용된 로고이며, 이 영문 로고는 1982년 1월까지 기자 마이크에도 사용했었다.][* 다만 아래 로고가 제정된 이후에도 TV에서는 생략형으로 쓰였다.] |
---|
16 | | |
---|
17 | | [[파일:MBC 로고(1974-1981).svg|width=180&theme=light]][[파일:MBC 로고(1974-1981) 화이트.svg|width=180&theme=dark]] |
---|
18 | | * 사용 기간: [[1974년]] [[7월 25일]] ~ [[1981년]] [[4월 25일]][* MBC 로고 바깥에 [[경향신문]]의 상징을 집어넣었다.] |
---|
19 | | |
---|
20 | | [[파일:MBC 로고(1981).svg|width=180&theme=light]][[파일:MBC 로고(1981) 화이트.svg|width=180&theme=dark]] |
---|
21 | | * 사용 기간: [[1981년]] [[4월 26일]] ~ [[1981년]] [[11월 30일]][* 다만 1981년 이전에도 사기(社旗)를 비롯해 방송이나 인쇄 매체 등에서 쓰인 적이 있다. [[:파일:20231204_133118.jpg|예시]]] |
---|
22 | | |
---|
23 | | [[파일:MBC 로고(1980-1981).svg|width=200]] |
---|
24 | | * 사용 기간: [[1980년]] [[12월 1일]] ~ [[1981년]] [[11월 30일]] (도합 12년 5개월)[* 바로 위의 로고는 컬러 텔레비전 초창기 로고. 이 영문로고도 마찬가지로 1982년 1월까지 기자 마이크에도 사용했었다.] |
---|
25 | | |
---|
26 | | [[정탁영]] 화가의 작품으로, TV 방송 개국 직전인 1969년 7월 1일에 변경되어 컬러방송 전환 직후인 1981년 11월 30일까지 쓰인 CI이다. 역대 문화방송 로고 중 3번째로 장수한 로고. |
---|
27 | | |
---|
28 | | [[경향신문]]과 같은 법인에 있을 때는 로고가 약간 변경되어 사용되기도 했다. 또한 컬러 텔레비전 초창기에는 색상을 입혀 사용했다. 그리고 둥근 테두리는 당시 경향신문의 CI에서 가져왔다. [[https://www.khan.co.kr/feature_story/article/201702022119005?utm_source=urlCopy&utm_medium=social&utm_campaign=sharing|#]] |
---|
29 | | |
---|
30 | | === 3세대 (1981. 12. ~ 1985. 12.) === |
---|
31 | | ||<tablebordercolor=#e61206><bgcolor=#368145><table width=600> {{{#FFF 상표 영문}}}[br]{{{-2 {{{#FFF (1981년~1985년)}}}}}} ||<bgcolor=#368145> {{{#FFF 상표 국문}}}[br]{{{-2 {{{#FFF (1981년~1985년)}}}}}} || |
---|
32 | | ||<width=50%><bgcolor=white,#1c1d1f> [[파일:MBC 로고(1981-1985).svg|width=65%]] ||<width=50%><bgcolor=white,#1c1d1f> [[파일:MBC 국문 로고(1981-1985).svg|width=75%&theme=light]][[파일:MBC 국문 로고(1981-1985) 화이트.svg|width=75%&theme=dark]] || |
---|
33 | | |
---|
34 | | * 사용 기간: [[1981년]] [[12월 1일]] ~ [[1985년]] [[12월 31일]] (약 4년) |
---|
35 | | |
---|
36 | | 1981년 12월 창사 20주년을 맞아 쓰이기 시작한 CI. 이 영문로고는 1981년 당시 성년을 맞은 MBC에서 방송망 확장, 여의도 스튜디오 준공 등 도약의지를 집약하기 위해 로고 개정작업을 하였으며, 국전 초대작가인 해정 박태준 선생(1926~2001)이 한글과 한자폰트를 맡았고 MBC 미술부에서 영문 로고를 제작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112020032921201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1-12-02&officeId=00032&pageNo=12&printNo=11132&publishType=00020|관련 기사]] 1982년 1월부터 기자 마이크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KBO 리그|프로야구]] 출범에 맞춰 창단한 [[MBC 청룡]]의 CI에도 적용되었다. |
---|
37 | | |
---|
38 | | 하단에 CI로 바뀐 8년 후인 1994년까지만 해도 일부 프로그램에서 사용하기도 했다. [[https://youtu.be/-z-NgAMs7Go|#]][* 1994년 'TV청년내각' 방송분으로 마이크가 1981년 CI로 표시되어 있다.] |
---|
39 | | |
---|
40 | | 2020년 10월 17일 [[MBC SPORTS+]]에서 클래식 컨셉으로 중계하기 위해 이 당시의 MBC 로고를 재현해 사용했다. |
---|
41 | | |
---|
42 | | 2025년 7월 26일, 8월 2일 [[놀면 뭐하니?]] 방송의 '80s MBC 서울 가요제 편에서 해당 로고가 사용되었다. |
---|
43 | | |
---|
44 | | === 4세대 (1986. 1. ~ 2005. 1. 2.) === |
---|
45 | | ||<-2><tablebordercolor=#bd342c><bgcolor=#043d78><table width=600> {{{#FFF 상표 영문}}} || |
---|
46 | | ||<width=50%><bgcolor=white,#999999> [[파일:MBC 로고(1986.1-4).svg|width=65%]] ||<width=50%><bgcolor=white,#999999> [[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65%]] || |
---|
47 | | ||<bgcolor=#043d78> {{{-2 {{{#FFF 1986년 1월 1일~1986년 4월 30일}}}}}} ||<bgcolor=#043d78> {{{-2 {{{#FFF 1986년 5월 1일~2005년 1월 2일}}}}}} || |
---|
48 | | |
---|
49 | | ||<-2><tablebordercolor=#bd342c><bgcolor=#043d78><table width=600> {{{#FFF 상표 국문혼합}}} || |
---|
50 | | ||<width=50%><bgcolor=white,#999999> [[파일:MBC 시그니처(1986.1-4).svg|width=100%]] ||<width=50%><bgcolor=white,#999999> [[파일:MBC 시그니처(1986-2005).svg|width=100%]] || |
---|
51 | | ||<bgcolor=#043d78> {{{-2 {{{#FFF 1986년 1월 1일~1986년 4월 30일}}}}}} ||<bgcolor=#043d78> {{{-2 {{{#FFF 1986년 5월 1일~2005년 1월 2일}}}}}} || |
---|
52 | | |
---|
53 | | ||<-2><tablebordercolor=#bd342c><bgcolor=#043d78><table width=600> {{{#FFF 상표 한문혼합}}} || |
---|
54 | | ||<width=50%><bgcolor=white,#999999> [[파일:MBC 한자 시그니처(1986.1-4).svg|width=100%]] ||<width=50%><bgcolor=white,#999999> [[파일:MBC 한문 시그니처(1986-2005).svg|width=100%]] || |
---|
55 | | ||<bgcolor=#043d78> {{{-2 {{{#FFF 1986년 1월 1일~1986년 4월 30일}}}}}} ||<bgcolor=#043d78> {{{-2 {{{#FFF 1986년 5월 1일~2005년 1월 2일}}}}}} || |
---|
56 | | |
---|
57 | | * 사용 기간: [[1986년]] [[1월 1일]] ~ [[2005년]] [[1월 2일]] ('''약 19년''')[* MBC 홈페이지 등에는 이 로고의 사용 기간을 2004년 12월 31일까지로 표기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2005년 1월 3일 새벽 2시까지 사용되었다.] |
---|
58 | | |
---|
59 | | [[홍익대학교]] [[권명광]] 교수 주도로 만들어졌다. 1985년 11월 7일 공개되었으며 1986년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1986년부터 2005년까지 19년 동안 현역으로 사용되었으며, 역대 MBC CI 중 현행 5세대 로고 다음으로 오래 사용한 로고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5110700329212017&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85-11-07&officeId=00032&pageNo=12&printNo=12344&publishType=00020|해당 심벌은 1985년 11월 7일에 발표]]하였으며, 그리고 같은 해에 열렸던 1985 [[MBC 대학가요제]]와 1985년 12월 20일에 방영했던 MBC 리포트의 앵커 스튜디오 뒤의 텔레비전 브라운관 화면에 1986년에 제정된 영문 폰트를 먼저 사용하였다. |
---|
60 | | |
---|
61 | | 'MBC' 텍스트는 후술할 Banco라는 폰트를 일부 편집하여 사용하였다.[* 본래 텍스트에 없던 C의 밑부분이 생겼고 또 M의 윗부분이 본래 텍스트와는 다르게 살짝 깎여있는걸 볼 수 있다. 제정 당시 로고체는 사다리꼴 형태로 3개로 되어있는데 영문은 조금 얇고 위의 C 부분이 날카롭고 뾰족한 부분이고, 한글은 로고에서 나타난 아이덴티티를 고려해 서체 부분이 다르고 ㅅ자 부분이 각진 상태이고, 한자는 조금 얇고 일부가 각진 상태이다. 여의도로 사옥을 이전하면서 로고를 수정하였다.] |
---|
62 | | |
---|
63 | | 원과 사각의 타원으로 이루어진 심벌의 전체적 형태는 전파의 제한점을 해소하고 전 세계적으로 뻗어나가는 통신위성의 안테나와 지구가 속한 은하계의 신비를 상징한다. 또 기울기 45°의 폐곡선 타원형은 가장 강렬한 발전과 성장 의지의 표상으로 세계의 창으로서 MBC의 미래지향적이고 진취적 언론상을 표상한다. 또 조형성에서 [[자이로스코프]]로 보이는 중앙의 타원형은 어떤 변화와 조건 하에서도 항상 바른 방향을 유지하는 방송 본연의 공정성을 상징하기도 한다. |
---|
64 | | |
---|
65 | | 중·장년 이상 세대의 기억 속에 가장 많이 남아있는 로고이며, 이 시기는 사람들에게 MBC의 [[리즈 시절|전성기]]로 기억되기도 한다. 국민 로고였단 사실. 이 시기 활동했던 앵커만 해도 [[손석희]], [[김주하]], [[엄기영]] 등 유명한 앵커들이고, 예능 프로그램도 [[일요일 일요일 밤에]],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 [[신비한 TV 서프라이즈]] 등 레전드 예능 프로그램이었다. 특히 이 로고가 쓰이던 중인 [[성수대교 붕괴 사고]] 때는 엄기영 앵커가 뉴스 진행을 성수대교 바로 옆에 위치한 동호대교에서,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때는 [[김은혜|한 기자]][* 전 [[국민의힘]] 의원, 현 대통령실 홍보수석.]가 위험을 무릅쓰고 [[삼풍백화점]]에 직접 들어가 설계도면을 들고 나와 부실공사 의혹을 처음으로 제기해 보도의 질이 [[지상파]] 3사 중 최상급이기도 하였다. 심지어 한국 방송사 로고송 중 가장 유명한 '''만나면 좋은 친구 MBC 문화방송'''[* 1990년도 후반부터 2005년 1월 초순까지 MBC 타이틀 송으로 사용되었고, 지금도 슬로건으로는 자주 내세우는만큼 '''"만나면 좋은 친구"는 명실상부 MBC의 대표 슬로건'''이다.]도 이 시기에 나왔으며, 잘 알려진 [[https://youtu.be/OphrBEz93jI|뉴스데스크의 오프닝]][* 링크된 영상은 [[1991년]] 4월~[[1998년]] 4월에 방영된 오리지널 버전이며, 리메이크 버전은 [[2001년]] 3월부터 현재까지 사용 중이다. [[https://youtu.be/Od3KXlXcgtw|#]]]과 [[https://youtu.be/v0iUCVIsFKc|스포츠뉴스 오프닝]][* 2001년 9월~현재. 다만, 2005년 7월에 오프닝 BGM이 약간 변경되긴 했다.][* 이외에도 1970~80년대생이라면 [[https://youtu.be/jiSrbaWmrRM|이 오프닝]]을 떠올릴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https://imnews.imbc.com/replay/1994/nwdesk/article/1945210_30690.html|날씨 오프닝]](1983년~1995년 4월 16일)도 그 시기에 나왔다. '엄마, 세상은 참 따뜻한 거죠. 우리 문화방송'(1993년 4월~2005년 1월)·'사랑하면 좋아요. MBC 문화방송'·'따뜻한 세상을 함께 만드는 MBC 문화방송'(1997년 ~ 2005년 1월) 등 몇 곡의 타이틀 송이 사용되었다. |
---|
66 | | |
---|
67 | | 2003년 3월, [[이긍희]] 사장 취임 이후 CI 개편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했고, 2005년 1월 3일부로 4세대 CI 사용이 중단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하지만 최승호 사장 체제가 들어선 2018년 이후 드라마 [[배드파파]]의 [[https://youtu.be/LisqQVO-cKE|티저 예고편]]과 시사교양 프로그램인 <[[당신이 믿었던 페이크]]>의 [[https://youtu.be/nqMvx6T7pvw|티저 예고편]]에 다시 모습을 드러냄으로써 전성기 시절 MBC를 그리워하는 사람들의 향수를 자극하고 있다. 예전 대구 MBC 사옥에 '시네마M'이라는 영화관이 있었는데 그 영화관 의자도 이 로고와 이 폰트가 새겨져 있었다. |
---|
68 | | |
---|
69 | | 로고에 사용된 글꼴은 [[https://thefontsmagazine.com/font/thrasher-font/|Banco]][* 해외에서는 [[트레셔]] 로고로 쓴게 유명하다.]를 조금 다듬은 것으로, 여기에 한글 타입을 추가로 제작한 것이 '문화방송체' 라는 이름으로 퍼졌다. 일부 [[문화방송 계열 지상파 방송사|MBC 지역국]]에서도 여전히 문화방송체로 적힌 글씨가 이곳 저곳에 잘 찾아보면 보이기도 하며, 심지어 상암 사옥 내의 일부 장비의 접근을 통제하는 가이드라인에도 문화방송이라는 글자는 문화방송체로 쓰여 있다. 2016년 8월 6일에 방송된 [[무한도전]] - [[두근두근 다방구]] 특집에서 상암동 MBC 광장에 문화방송체로 적힌 '문화방송 안전관리팀'이라는 글자가 적힌 천막이 있었다. 그리고 그 폰트는 전국 곳곳의 많은 사업장 및 포장지, 인쇄물 등에도 사용되고 있다. |
---|
70 | | |
---|
71 | | MBC SNS 페이지에서 한 번은 [[만우절]]을 맞이하여 프사를 이 로고로 하루동안 바꿔놓는 장난을 친 적이 있었다(...). [[https://www.facebook.com/MBC/photos/a.151371608229228/977880248911689|#]] |
---|
72 | | |
---|
73 | | [[MBC 뉴스데스크]]의 예전 코너인 현장출동 오프닝 영상에서 방영 초기부터 CI가 바뀐 2005년 1월 3일 이후에도 2006년 3월 15일까지 이 로고를 표출하였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06/nwdesk/article/1987069_29291.html|2006년 3월 15일 현장출동]][* 현장출동 타이틀을 보면 헬리콥터, 카메라에 표기된 것.] |
---|
74 | | |
---|
75 | | 또한 [[2005년]] [[1월 6일]] [[MBC 100분 토론]]의 엔딩 크레딧에서도 [[https://m.blog.naver.com/taejin9531/223370890867|옛 로고와 혼용하기도 했었다.]] |
---|
76 | | |
---|
77 | | 다소 촌스러워 보일 수도 있지만 계속해서 예토전생하는 것을 보면 역시 특유의 강렬한 심벌마크와 글씨가 인상적이었긴 한 것으로 보인다. |
---|
78 | | |
---|
79 | | CI가 바뀐 이후인 2005년 MBC드라마 〈[[제5공화국(드라마)|제5공화국]]〉과 2015년 tvN 드라마 〈[[응답하라 1988]]〉에서 해당 로고와 글씨가 나온 적이 있다. 〈제5공화국〉에서는 1987년 [[전두환]]([[이덕화]] 扮)의 [[https://www.youtube.com/watch?v=dYNb8G5AEaA&t=489s|연두 기자회견을 촬영하는 카메라에 붙어 있는 모습]]으로 나왔으며,[* 빠르게 지나가서 얼핏 보기에는 알아보기 어렵다.] 〈응답하라 1988〉에서는 [[성덕선]]([[혜리]] 扮)이 [[김정환(응답하라 1988)|김정환]]([[류준열]] 扮)과 〈[[별이 빛나는 밤에]]〉 잼 콘서트를 관람한 후 인증샷을 촬영할 때[[https://www.youtube.com/watch?v=gSlUCUwWfU0&t=42s|포스터 및 판넬에 삽입된 모습]]으로 등장했다. |
---|
80 | | |
---|
81 | | === 5세대 계열 (2005. 1. 3. ~ 현재) === |
---|
82 | | ==== 5세대 초기형 (2005. 1. 3. ~ 2011. 12.) ==== |
---|
83 | | ||<tablebordercolor=#ff0000><bgcolor=#000000><table width=600> {{{#FFF 상표 영문}}}[br]{{{-2 {{{#FFF (2005년~2011년)}}}}}} ||<bgcolor=#000000> {{{#FFF 상표 국문}}}[br]{{{-2 {{{#FFF (2005년~2011년)}}}}}} || |
---|
84 | | ||<width=50%><bgcolor=white,#1c1d1f> [[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65%&theme=light]][[파일:MBC 로고(2005-2011) 화이트.svg|width=65%&theme=dark]] ||<width=50%><bgcolor=white,#1c1d1f> [[파일:MBC 국문 로고(2005-2011).svg|width=65%&theme=light]][[파일:MBC 국문 로고(2005-2018) 화이트.svg|width=65%&theme=dark]] || |
---|
85 | | * 사용 기간: [[2005년]] [[1월 3일]] ~ [[2011년]] [[12월 31일]][* 화면 우측 상단의 워터마크 한정으로는 2005년 1월 3일부터 6일까지 4일간 사용한 후 2005년 1월 7일부터 5세대 개량형 로고로 바뀌었다. 2012년 이후로는 MBC 공식행사 등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비공식적인 단체 행사에서만 사용되었다.] (약 7년) |
---|
86 | | |
---|
87 | | [youtube(kAVWNDHIE94)] |
---|
88 | | 위 동영상은 2004년 12월 15일부터 2005년 로고 변경 초기까지 쓰인 티저광고 등 영상 모음집으로, 티저광고 배경음악은 [[Lemon Tree]]. 티저광고 속 아역 모델은 배우 [[서신애]]였다.[* <MBC CI 개정 백서(2005)> 참고.] iMBC 홈페이지에서는 2005년부터 진행되는 이벤트들의 홍보 배너에 선행 사용되기 시작했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05/nwdesk/article/1936215_30781.html|2005년 1월 2일, 뉴스데스크를 통해 CI 교체를 단신으로 보도하였고]], 1월 3일부터 방송 화면에도 새 로고가 노출되면서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단, [[iMBC]] 홈페이지에는 2005년 7월 31일까지 4세대 로고와 혼용하여 사용했다. |
---|
89 | | |
---|
90 | | 당시 [[박혜진(방송인)|박혜진]] 앵커의 단신 보도에 따르면 B에 새겨진 '빨간 네모'는 시청자와의 쌍방향적인 대화와 모든 콘텐츠를 포괄적으로 상징한다고 설명하고 있으며, 교체 당일 가진 NEW MBC 선포식에서 [[이긍희]] 당시 대표이사가 밝힌 바에 따르면 인터넷의 발달과 케이블 채널의 성장에 따른 다매체 시대에 발맞춰 공중파 채널 이미지를 탈피한[* 상기하였듯 4세대 로고와 함께 사용된 심볼 마크는 안테나가 전파를 송신하는 모양새를 표현하고 있어 아날로그 시대 내지는 UHF, VHF 안테나로 방송을 시청하곤 했던 브라운관 시대에 국한되는 듯한 시각적 한계로 인지했던 듯 하다.] 콘텐츠 중심의 종합 미디어 그룹으로 도약하고자 하는 의도가 담겨있다고 한다. 이와 같은 취지와 슬로건이 현재 MBC 홈페이지의 회사 소개에도 설명되어 있는 점과 이후 2010년도의 스마트폰의 발달에 따른 인터넷의 활성화, 2020년도의 [[유튜브]]와 OTT의 발달로 지상파 3사의 위상이 과거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점을 생각해보면 미래를 내다본 로고였던 셈. |
---|
91 | | |
---|
92 | | 로고가 적용될 당시 '[[https://mdg.ca/|MDG]]'라는 [[캐나다]] 컴퓨터 조립 업체의 로고 디자인을 표절했다는 의혹이 [[https://blog.naver.com/morandesign/40009341539|인터넷에서 떠돌았다.]] 이에 MBC 측에서는 [[https://blog.naver.com/morandesign/40009419363|표절이 아니라는 의견을 밝혔다.]] 다만 논란을 의식해 색상을 변경하거나 레드박스를 없애는 등의 여러 방안을 검토하였는데 결국 공식 로고 자체는 초안 그대로 적용하였으며, [[https://blog.naver.com/morandesign/40009483466|2005년 1월 7일부터 방송 화면에 송출되는 워터마크에 한해 레드박스를 제거하였다.]] 로고 적용 당시에는 워터마크에도 레드박스가 있었다. 로고 변경 후 1월 3일 방영된 [[https://imnews.imbc.com/replay/2005/nwdesk/article/1936180_30781.html|뉴스데스크에서 확인 할 수 있는데]], 이 레드박스가 시선을 분산시킨다는 지적을 받자 변경한 것. 그런데 레드박스를 없앴더니 'M'''D'''C'같이 보인다며 MBC가 방송국 이름을 바꾼 줄 알았다는(...) 비아냥도 오갔다. |
---|
93 | | |
---|
94 | | 이 로고의 폰트는 'MBC logo 2005'라는 이름으로 [[http://withmbc.imbc.com/withmbc/data/download/index.html|이 사이트에서 구할 수 있다.]] 하지만 2005년 당시의 MBC 사내 지역국 명칭이나 계열사 명칭으로 사용하는 데 필요한 글자들만 디자인이 되어 있다 보니 누락된 글자들이 너무 많아 다른 곳에 사용하기는 영 좋지 못하다. 그나마 숫자와 영문 대문자들은 누락된 부분이 없어 쓸만하다. 이런 글자 호환성 문제 때문인지 링크를 타고 폰트를 다운 받으면 zip 파일 안에 몇 가지의 폰트가 더 들어가 있다. [[http://aboutmbc.imbc.com/korean/corporateinfo/data/index.html|#]] |
---|
95 | | [[파일:mbc 로고 확정안.jpg]] |
---|
96 | | 이 로고는 2안과 3안도 있었는데, 2안의 경우 M자 부분이 중국 [[샤오미]]에서 이후 사용하기 시작한 로고와 비슷한 느낌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17/0000001433|출처]] |
---|
97 | | |
---|
98 | | 가운데에 있는 B자를 잘 보면 상하대칭이 아니라 아래쪽이 좀 더 넓은 것을 알 수 있다. |
---|
99 | | |
---|
100 | | 2023년 3월 15일 발행된 MBC사우회보 76호에 따르면 이 로고를 제작하는 데 큰 역할을 한 사람은 당시 홍보부 직원이던 이철수라고 설명하고 있다. |
---|
101 | | |
---|
102 | | ==== 5세대 개량형 (2012 ~ 현재) ==== |
---|
103 | | ||<tablebordercolor=#324554><bgcolor=#324554><table width=600> {{{#FFF 상표 영문}}}[br]{{{-2 {{{#FFF (2012년 1월 1일 ~ 현재)}}}}}} || |
---|
104 | | ||<width=50%><bgcolor=white,#1c1d1f> [[파일:MBC 로고.svg|width=32%&theme=light]][[파일:MBC 로고 화이트.svg|width=32%&theme=dark]] || |
---|
105 | | |
---|
106 | | ||<-3><tablebordercolor=#324554><bgcolor=#324554><table width=600> {{{#FFF 상표 국문}}}[* 2018년부터는 주로 [[한글날]], [[설날]] 한정으로 사용한다.] || |
---|
107 | | ||<width=30%><bgcolor=white,#1c1d1f> [[파일:MBC 국문 로고(2012-2018).svg|width=100%&theme=light]][[파일:MBC 국문 로고(2005-2018) 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width=30%><bgcolor=white,#1c1d1f> [[파일:MBC 국문 로고(2018-2020).svg|width=100%&theme=light]][[파일:MBC 국문 로고(2018-2020) 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width=30%><bgcolor=white,#1c1d1f> [[파일:MBC 국문 로고.svg|width=100%&theme=light]][[파일:MBC 국문 로고 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 |
---|
108 | | ||<bgcolor=#324554> {{{-2 {{{#FFF 2012년~2018년}}}}}} ||<bgcolor=#324554> {{{-2 {{{#FFF 2018년[* 정확히는 한글날의 의미를 되새기자는 취지에서 [[2018년]] [[10월 9일]]부터 사용되었다.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108/0002816012|#]]]~2020년}}}}}} ||<bgcolor=#324554> {{{-2 {{{#FFF 2021년~2023년}}}}}} || |
---|
109 | | * 사용 기간: [[2012년]] [[1월 1일]] ~ '''현재''' |
---|
110 | | |
---|
111 | | 결국 2012년에는 공식적으로 레드박스는 로고에서 사라졌다. 디자인 면에서도 불호가 조금 있었고, 결정적으로 '''MBC가 빨갱이 방송이 됐다'''며 흔들어댄 탓도 컸다는 세간의 견해도 있었다. 이미 2005년 [[동아일보|동아닷컴]]에서 역술인까지 동원해가며 비난한 흔적을 지금도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donga.com/news/Culture/article/all/20051208/8255029/9|#]] 이에 MBC 측은 2010년 하반기에 소디엄파트너스를 CI 대행사로 선정하고 편성-보도-영상미술-홍보 4개 국이 주축이 되어 사내외적으로 폭넓은 의견 수렴과 연구를 진행, 이리하여 2011년 12월 창사 50주년 기념식에서 리브랜딩된 위 CI를 선보이고 2012년 신정부터 적용했다.[* 출처: <MBC연감 2012(CD롬)> p32.] 그런고로 구 여의도 사옥 앞에 있던 정육면체 조형물 색깔도 원래 빨간색이던 것을 연녹색으로 교체하기에 이른다. |
---|
112 | | |
---|
113 | | |
---|
114 | | |
---|
115 | | ==== [[MBC 무브먼트]](2018. 6. 2.~) ==== |
---|
116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BC 무브먼트)] |
---|
117 | | |
---|
118 | | [[분류:문화방송|로고]][[분류:방송 디자인]] |
---|
119 | | |
---|
120 | | [include(틀:나무위키에서 가져옴,title=틀:문화방송/로고,rev=5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