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r37 vs r38
1 1
[[분류:코스모피디아]]
2 2
[include(틀:코스모피디아)]
3 3
[include(틀:이용안내)]
4 4
[clearfix]
5 5
[목차]
6 6
== 개요 ==
7 7
코스모피디아에서 사용하는 용어들을 정리해 놓은 문서이다.
8 8
9 9
== 상세 ==
10 10
공식적으로 정의되지 않은 용어들이 커뮤니티 내에서 다양한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어, 서술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코스모피디아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이곳에 정리한다.
11 11
12 12
== 용어 목록 ==
13 13
=== 시스템, 레벨 관련 ===
14 14
'''레벨'''{{{-2 (Level)}}} : 유저들이 자유롭게 만들어 .adofai의 형태로 공유할 수 있는 플레이 가능한 파일 및 그 자체.
15 15
* 유의어 : 커스텀 맵, 커스텀 레벨 등
16 16
'''레벨 팩'''{{{-2 (Level Pack)}}} : 다수의 레벨의 묶음.
17 17
* 유의어 : 맵팩
18 18
'''레벨 제작자'''{{{-2 (Level Creator)}}} : 커스텀 레벨을 만드는 유저들의 통칭.
19 19
* 유의어 : 에디터, 제작자
20 20
=== 에디팅 관련 ===
21 21
'''합작'''{{{-2 (Collaboration)}}} : 여러 명의 에디터가 만든 맵을 의미. [* 팀 단위로 만들어진 합작은 팀 합작, 개인적으로 만들어진 합작은 개인 합작, 대회 안에서 만들어진 팀에서 하는 합작은 대회 합작이라 부름.]
22 22
* 유의어 : Collab
23 23
'''예능맵'''{{{-2 ( ? )}}} : 플레이가 목적이 아닌 재미만을 위해 만들어진 맵을 통칭
24 24
* 유의어 : X
25 25
==== 차팅 관련 ====
26 26
'''트랙'''{{{-2 (Track)}}} : 레벨을 이루는 가장 기초적인 요소, 행성의 입력을 감지하는 타일.
27 27
* 유의어 : 채보, 차트 등
28 28
'''변속'''{{{-2 (Speed Change)}}} : 곡의 BPM이 변하는 것, 달팽이와 토끼를 모두 통칭하기도 함.
29 29
* 유의어 : X
30 30
'''가속'''{{{-2 (Accel, Accelation, Accelating)}}} : 곡의 BPM이 점점 올라가는 것.
31 31
* 유의어 : X
32 32
'''감속'''{{{-2 (Decel, Deceleration, Decelating)}}} : 곡의 BPM이 점점 내려가는 것.
33 33
* 유의어 : X
34 34
'''N잇단'''{{{-2 (N Tuplet)[*여담 사실 Tuplet은 모든 잇단을 통칭하는 단어이며 셋잇단은 Triplet, 다섯잇단은 Quintuplet 등으로 표기하는 것이 맞지만 편의상으로 3 Tuplet, 5 Tuplet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음]}}} : 한 박을 N등분으로 나눈 박자, N잇단은 얼불춤에서 180/N°의 배수를 각도로 가진 타일로 표기하며[*예시1 3잇단 = 180/3=60° 혹은 그의 배수(120°, 240°)], 가끔 타일에 변속을 주어 정N각형으로 표기할 때도 있다[*예시2 5잇단 = 180/5=36° + 타일 BPM × 3 = 108° = 정오각형].
35 35
* 유의어 : X
36 36
'''미드스핀'''{{{-2 (Midspin)}}} : 에디터에서 Tab키를 눌러 설치할 수 있는 오각형 모양의 타일.
37 37
* 유의어 : 탭드, 미드
38 38
'''3공'''{{{-2 (3 Planets)}}} : [[레벨 에디터/이벤트#s-4.7|이벤트 문서]]의 DLC 단락 참고.
39 39
* 유의어 : X
40 40
'''개박'''{{{-2 (Funky beats, Funny beats, Shit beats)}}} : 말 그대로 '개같은 박자'의 줄임말으로, 어떻게 정의할 수 없는 난해한 박자의 통칭이다.
41 41
* 유의어 : X
42 42
'''급발진'''{{{-2 ( ? )}}} : 갑자기 채보가 4배 이상으로 빨라지는 구간을 의미.
43 43
* 유의어 : X
44 44
'''급브레이크'''{{{-2 ( ? )}}} : 질주하다가 갑자기 멈추는 구간을 의미.
45 45
* 유의어 : X
46 46
'''동타'''{{{-2 (Pseudo[* Pesudo가 아니다.])}}} : 동시에 두 타일을 치는 것, 후술할 3동타와 2동타를 통칭하기도 함.
47 47
* 유의어 : 동시 치기, 동치, 즈레 등
48 48
'''N동타'''{{{-2 (Nk Pseudo)}}} : 전술했던 2동타와 같이 n개의 타일을 동시에 치는 것이며 영문명의 k는 Key를 의미함. [*예시3 3동 = 3k Pseudo / 4동타 = 4k Pseudo 등...]
49 49
* 유의어 : N동
50 50
'''마법진'''{{{-2 (MagicShape)}}} : 같은 박자가 쭉 나오는 채보를 변속과 소용돌이로 모양을 낸 것.
51 51
* 유의어 : 법진
52 52
'''뱀'''{{{-2 ( ? )}}} : 같은 박자의 타일을 뱀처럼 휘어 놓은 것을 의미 함, 자세한 내용은 [[자주 사용되는 트랙 패턴]] 문서 참고 [*예시4 예시 : [[파일:패턴 뱀.png]]]
53 53
* 유의어 : X
54 54
'''성게'''{{{-2 ( ? )}}} : 빠른 박자의 동타를 반복하는 구간에서 채보를 성게 모양으로 만든 것을 의미 함. [*예시5 예시 : [[파일:패턴 성게.png]]]
55 55
* 유의어 : X
56 56
'''비피엠'''{{{-2 (BPM)}}} : Beat Per Minute, 1분에 나오는 비트의 수를 뜻한다. 쉽게 말하면 곡의 속도를 말하는 용어.
57 57
* 유의어 : 브픔, BPM
58 58
'''기본 비피엠'''{{{-2 (Default BPM)}}} : 곡의 기본 브픔을 의미함, 변속이 있지 않은 이상 변하지 않음.
59 59
* 유의어 : 기본 브픔, 기본 BPM
60 60
'''타일 비피엠'''{{{-2 (Tile BPM)}}} : 달팽이와 토끼로 조정한 맵의 브픔을 의미, 대부분은 기본 브픔을 따름.[* X2, X4, X8, X16, X32, X64, x128...[br]X0.5 X0.25 X0.125...]
61 61
* 유의어 : 타일 브픔, 타일 BPM
62 62
'''체감 비피엠'''{{{-2 ( ? BPM)}}} : 각도와 타일 브픔으로 구해지는 실제로 쳐야 하는 브픔을 의미.[* (타일 브픔) × 180° / (그 타일의 각도) EX) 227 *180/270]
63 63
* 유의어 : 체감 브픔, 체감 BPM
64 64
'''난이도 가시'''{{{-2 (Diff. Spike)}}} : 난이도가 순간적으로 높아지는 구간을 의미.
65 65
* 유의어 : 가시
66 66
==== 이펙팅 관련 ====
67 67
'''이펙트'''{{{-2 (Effect)}}} : 아래 카메라와 디자인을 묶어 이르는 단어, 트랙을 제외한 레벨의 시각적 요소들의 통칭.
68 68
* 유의어 : 이펙
69 69
'''디자인'''{{{-2 (Design)}}} : 카메라를 제외한 나머지 이펙트의 통칭.
70 70
* 유의어 : VFX
71 71
'''카메라'''{{{-2 (Camera)}}} : 레벨을 플레이할 때 보이는 범위, 각도 등을 조정하는 이펙트의 한 종류.
72 72
* 유의어 : 캠
73 73
'''비트캠'''{{{-2 ( ? )}}} : 순간적으로 확대된 뒤 확대가 원상복구되는 카메라를 통칭.
74 74
* 유의어 : X
75 75
'''타이포그래피'''{{{-2 (Typography)}}} : 말 그대로 보컬이 있는 곡의 가사를 타이포그래피 하는 것을 의미.
76 76
* 유의어 : 타이포
77 77
=== 플레이 관련 ===
78 78
'''타법'''{{{-2 ( ? )}}} : 키보드를 누르는 방법, 한 손 기반부터 안밖, 밖안, 계단, 역계단 등등 다양함.
79 79
* 유의어 : X
80 80
=== 레벨 ===
81 81
'''~슈퍼 믹스'''{{{-2 (~ Super Mix)}}} : 한 작곡가의 곡 여러 개를 짜깁기하여 만든 곡 또한 맵. [*예시6 카슈믹 : Camellia Super Mix / 프슈믹 : Frums Super Mix 등..]
82 82
* 유의어 : 슈믹
83 83
'''~메가 믹스'''{{{-2 (~ Megamix)}}} : 한 작곡가의 곡 여러 개를 이어 만든 곡 또한 맵. [* 슈퍼믹스는 짜깁기지만 메가믹스는 곡을 그대로 잇는 것을 의미하기에 다름.]
84 84
* 유의어 : 메믹
85 85
'''마녀'''{{{-2 (WOTH)}}} : e_ku의 곡, [[Witch of the Hollows]]를 마녀로 줄여 말하는 단어[* 가끔 takehirotei - The Witch Hunt를 지칭할 때도 있지만 이때는 주로 마녀사냥이라고 함].
86 86
* 유의어 : X
87 87
'''FBA'''{{{-2 (FBA)}}} : 카멜리아의 곡, [[FINAL BLENDERMAN APPEARED.|FINAL BLENDERMAN APPEARED. (feat. RichaadEB)]]의 약자.
88 88
* 유의어 : X
89 89
'''헬로'''{{{-2 ( ? )}}} : 카멜리아의 곡, [[Hello (BPM) 2021]]을 주로 의미, Hello (BPM) 202N을 통칭하기도 함.
90 90
* 유의어 : Hello 202N [*예시7 Hello 2023, Hello 2024 등...]
91 91
'''혼자 능지'''{{{-2 (Alone intelligence)}}} : 카멜리아의 곡, Alone intelligence를 직역해 부르는 단어.
92 92
* 유의어 : X
93 93
'''바나나 우유'''{{{-2 ( ? )}}} : hugepulse의 곡, マリキュールの大地を駆けて을 의미함, [[가지지]]가 이 곡을 사용한 맵을 배포할 때 최초 클리어 보상으로 바나나 우유를 건 것으로 유래 됨.
94 94
* 유의어 : 마리큐어, 마리큐어의 대지를 달려
95 95
'''몰루'''{{{-2 (He He He)}}} : Cardboard Box의 곡, He He He를 의미함, 몰?루 밈이 그려진 법진이 존재하는 맵에서 유래 됨.
96 96
* 유의어 : 몰?루, 몰루법진
97 97
'''스불재'''{{{-2 (Selfmade Disaster)}}} : [[Plum]]의 곡, Selfmade Disaster을 의미함.
98 98
* 유의어 : 스스로 불러온 재앙
99 99
'''보라 궁전'''{{{-2 (Purple Palace)}}} : SUPER MWC KART[* [[BilliumMoto]] x Se-U-Ra x [[Silentroom]]]의 곡, Purple Palace의 직역.
100 100
* 유의어 : X
101 101
'''Mdr'''{{{-2 (Mdr)}}} : [[Frums]]의 곡, Mdrqnxtagon이 너무 길다 보니 앞 3글자만 잘라 부르는 것.
102 102
* 유의어 : X
103 103
'''WWTR'''{{{-2 (WWTR)}}} : [[Frums]]의 곡, We Want To Run의 약자.
104 104
* 유의어 : 우리는 달리는 것을 원한다, 원두커피
105 105
'''다중팔'''{{{-2 (multi_arm)}}} : [[Frums]]의 곡, [[multi_arm]]의 직역
106 106
* 유의어 : X
107 107
'''타법 이즈 마인'''{{{-2 (Tabub is mine)}}} : Seedbean의 곡, A8C32J4HNVU8EWHDZA@8AHC9WJANCWJ을 의미함, 불과 얼음의 춤 플레이어, [[민트]]가 [[https://youtu.be/BY_b3NBqZj0?t=12|이 영상]]에서 [[Spectrum(Electronic Charting Machines)#s-3.13|무썸네일러가 이 곡으로 제작한 레벨]]의 최초 클리어를 먹기 위해 타법을 가리려고 사용된 텍스트에서 유래 됨.
108 108
* 유의어 : A8~~ [* 가끔 곡 제목이 너무 길기에 A8을 가장 앞에 붙이고 뒤에 아무 글자나 적어서 표기함]
109 109
=== 기타 ===
110 110
'''가독성'''{{{-2 (Readability)}}} : 맵의 채보가 잘 읽히는 정도, 이펙트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채보 자체의 문제도 있음.
111 111
* 유의어 : X
112 112
'''불과 얼음의 춤 갤러리'''{{{-2 (Adofai Gallery)}}} : 주로 얼불춤을 다루는 DCinside의 마이너 갤러리를 의미.
113 113
* 유의어 : 얼갤
114 114
'''7th beat games'''{{{-2 (7th beat games)}}} : 게임 제작사를 의미.
115 115
* 유의어 : 7BG, 7빝, 칠비지, 7비지 등...
116 116
'''책상불춤'''{{{-2 ( ? )}}} : 얼불춤을 플레이 하는 것과 같이 책상을 두들기는 행위를 의미 함. --심각한 중독 증세이니 병원을 가보자--
117 117
* 유의어 : X
118 118
'''허공불춤'''{{{-2 ( ? )}}} : 위와 같이 얼불춤을 플레이 하는 것과 같이 허공을 두들기는 행위를 의미 함. --이 또한 심각한 중독 증세이니 병원을 가보자--
119 119
* 유의어 : X
120 120
'''어도파이 트윅스'''{{{-2 (Adofai Tweaks)}}} : 얼불춤에 많은 편리성 기능을 제공해주는 가장 대중적인 모드 중 하나.
121 121
* 유의어 : 어트윅, 트윅스, 트윅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