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25 vs r26
......
3131* 유의어 : X
3232'''감속'''{{{-2 (Decel, Deceleration, Decelating)}}} : 곡의 BPM이 점점 내려가는 것.
3333* 유의어 : X
34'''N잇단'''{{{-2 (N Tuplet)[*여담 사실 Tuplet은 모든 잇단을 통칭하는 단어이며 셋잇단은 Triplet, 다섯잇단은 Quintuplet 등으로 표기하는 것이 맞지만 편의상으로 3 Tuplet, 5 Tuplet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음]}}} : 한 박을 N등분으로 나눈 박자, N잇단은 얼불춤에서 180/N°의 배수를 각도로 가진 타일로 표기하며[*예시2 3잇단 = 180/3=60° 혹은 그의 배수(120°, 240°)], 가끔 타일에 변속을 주어 정N각형으로 표기할 때도 있다[*예시5 5잇단 = 180/5=36° + 타일 BPM × 3 = 108° = 정오각형].
34'''N잇단'''{{{-2 (N Tuplet)[*여담 사실 Tuplet은 모든 잇단을 통칭하는 단어이며 셋잇단은 Triplet, 다섯잇단은 Quintuplet 등으로 표기하는 것이 맞지만 편의상으로 3 Tuplet, 5 Tuplet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음]}}} : 한 박을 N등분으로 나눈 박자, N잇단은 얼불춤에서 180/N°의 배수를 각도로 가진 타일로 표기하며[*예시1 3잇단 = 180/3=60° 혹은 그의 배수(120°, 240°)], 가끔 타일에 변속을 주어 정N각형으로 표기할 때도 있다[*예시2 5잇단 = 180/5=36° + 타일 BPM × 3 = 108° = 정오각형].
3535* 유의어 : X
3636'''미드스핀'''{{{-2 (Midspin)}}} : 에디터에서 Tab키를 눌러 설치할 수 있는 오각형 모양의 타일.
3737* 유의어 : 탭드, 미드
......
4545* 유의어 : X
4646'''동타'''{{{-2 (Pseudo)}}} : 동시에 두 타일을 치는 것, 후술할 3동타와 2동타를 통칭하기도 함.
4747* 유의어 : 동시 치기, 동치, 즈레 등
48'''N동타'''{{{-2 (Nk Pseudo)}}} : 전술했던 2동타와 같이 n개의 타일을 동시에 치는 것이며 영문명의 k는 Key를 의미함. [*예시1 3동 = 3k Pseudo / 4동타 = 4k Pseudo 등...]
48'''N동타'''{{{-2 (Nk Pseudo)}}} : 전술했던 2동타와 같이 n개의 타일을 동시에 치는 것이며 영문명의 k는 Key를 의미함. [*예시3 3동 = 3k Pseudo / 4동타 = 4k Pseudo 등...]
4949* 유의어 : N동
5050'''마법진'''{{{-2 (MagicShape)}}} : 같은 박자가 쭉 나오는 채보를 변속과 소용돌이로 모양을 낸 것.
5151* 유의어 : 법진
5252'''뱀'''{{{-2 ( ? )}}} : 같은 박자의 타일을 뱀처럼 휘어 놓은 것을 의미 함, 자세한 내용은 [[자주 사용되는 트랙 패턴]]문서 참고 [*예시4 예시 : [[파일:패턴 뱀.png]]]
5353* 유의어 : X
54'''성게'''{{{-2 ( ? )}}} : 빠른 박자의 동타를 반복하는 구간에서 채보를 성게 모양으로 만든 것을 의미 함. [*예시6 예시 : [[파일:패턴 성게.png]]]
54'''성게'''{{{-2 ( ? )}}} : 빠른 박자의 동타를 반복하는 구간에서 채보를 성게 모양으로 만든 것을 의미 함. [*예시5 예시 : [[파일:패턴 성게.png]]]
5555* 유의어 : X
5656'''비피엠'''{{{-2 (BPM)}}} : Beat Per Minute, 1분에 나오는 비트의 수를 뜻한다. 쉽게 말하면 곡의 속도를 말하는 용어.
5757* 유의어 : 브픔, BPM
......
7878'''타법'''{{{-2 ( ? )}}} : 키보드를 누르는 방법, 한 손 기반부터 안밖, 밖안, 계단, 역계단 등등 다양함.
7979* 유의어 : X
8080=== 레벨 ===
81'''~슈퍼 믹스'''{{{-2 (~ Super Mix)}}} : 한 작곡가의 곡 여러 개를 짜깁기하여 만든 곡 또한 맵. [*예시3 카슈믹 : Camellia Super Mix[br]프슈믹 : Frums Super Mix 등..]
81'''~슈퍼 믹스'''{{{-2 (~ Super Mix)}}} : 한 작곡가의 곡 여러 개를 짜깁기하여 만든 곡 또한 맵. [*예시6 카슈믹 : Camellia Super Mix[br]프슈믹 : Frums Super Mix 등..]
8282* 유의어 : 슈믹
8383'''~메가 믹스'''{{{-2 (~ Megamix)}}} : 한 작곡가의 곡 여러 개를 이어 만든 곡 또한 맵. [* 슈퍼믹스는 짜깁기지만 메가믹스는 곡을 그대로 잇는 것을 의미하기에 다름.]
8484* 유의어 : 메믹
......
8787'''FBA'''{{{-2 (FBA)}}} : 카멜리아의 곡, [[FINAL BLENDERMAN APPEARED.|FINAL BLENDERMAN APPEARED. (feat. RichaadEB)]]의 약자.
8888* 유의어 : X
8989'''헬로'''{{{-2 ( ? )}}} : 카멜리아의 곡, [[Hello (BPM) 2021]]을 주로 의미, Hello (BPM) 202N을 통칭하기도 함.
90* 유의어 : Hello 202N [*예시4 Hello 2023, Hello 2024 등...]
90* 유의어 : Hello 202N [*예시7 Hello 2023, Hello 2024 등...]
9191'''혼자 능지'''{{{-2 (Alone intelligence)}}} : 카멜리아의 곡, Alone intelligence를 직역해 부르는 단어.
9292* 유의어 : X
9393'''바나나 우유'''{{{-2 ( ? )}}} : hugepulse의 곡, マリキュールの大地を駆けて을 의미함, [[가지지]]가 이 곡을 사용한 맵을 배포할 때 최초 클리어 보상으로 바나나 우유를 건 것으로 유래 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