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30 vs r31
......
1818'''레벨 제작자'''{{{-2 (Level Creator)}}} : 커스텀 레벨을 만드는 유저들의 통칭.
1919 * 유의어 : 에디터, 제작자
2020=== 에디팅 관련 ===
21'''합작'''{{{-2 (Collaboration)}}} : 여러 명의 에디터가 만든 맵을 의미. [ * 팀 단위로 만들어진 합작은 팀 합작, 개인적으로 만들어진 합작은 개인 합작, 대회 안에서 만들어진 팀에서 하는 합작은 대회 합작이라 부름.]
21'''합작'''{{{-2 (Collaboration)}}} : 여러 명의 에디터가 만든 맵을 의미. [* 팀 단위로 만들어진 합작은 팀 합작, 개인적으로 만들어진 합작은 개인 합작, 대회 안에서 만들어진 팀에서 하는 합작은 대회 합작이라 부름.]
2222 * 유의어 : Collab
2323'''예능맵'''{{{-2 ( ? )}}} : 플레이가 목적이 아닌 재미만을 위해 만들어진 맵을 통칭
2424 * 유의어 : X
......
3131 * 유의어 : X
3232'''감속'''{{{-2 (Decel, Deceleration, Decelating)}}} : 곡의 BPM이 점점 내려가는 것.
3333 * 유의어 : X
34'''N잇단'''{{{-2 (N Tuplet)[ *여담 사실 Tuplet은 모든 잇단을 통칭하는 단어이며 셋잇단은 Triplet, 다섯잇단은 Quintuplet 등으로 표기하는 것이 맞지만 편의상으로 3 Tuplet, 5 Tuplet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음]}}} : 한 박을 N등분으로 나눈 박자, N잇단은 얼불춤에서 180/N°의 배수를 각도로 가진 타일로 표기하며[ *예시1 3잇단 = 180/3=60° 혹은 그의 배수(120°, 240°)], 가끔 타일에 변속을 주어 정N각형으로 표기할 때도 있다[ *예시2 5잇단 = 180/5=36° + 타일 BPM × 3 = 108° = 정오각형].
34'''N잇단'''{{{-2 (N Tuplet)[*여담 사실 Tuplet은 모든 잇단을 통칭하는 단어이며 셋잇단은 Triplet, 다섯잇단은 Quintuplet 등으로 표기하는 것이 맞지만 편의상으로 3 Tuplet, 5 Tuplet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음]}}} : 한 박을 N등분으로 나눈 박자, N잇단은 얼불춤에서 180/N°의 배수를 각도로 가진 타일로 표기하며[*예시1 3잇단 = 180/3=60° 혹은 그의 배수(120°, 240°)], 가끔 타일에 변속을 주어 정N각형으로 표기할 때도 있다[*예시2 5잇단 = 180/5=36° + 타일 BPM × 3 = 108° = 정오각형].
3535 * 유의어 : X
3636'''미드스핀'''{{{-2 (Midspin)}}} : 에디터에서 Tab키를 눌러 설치할 수 있는 오각형 모양의 타일.
3737 * 유의어 : 탭드, 미드
......
4545 * 유의어 : X
4646'''동타'''{{{-2 (Pseudo)}}} : 동시에 두 타일을 치는 것, 후술할 3동타와 2동타를 통칭하기도 함.
4747 * 유의어 : 동시 치기, 동치, 즈레 등
48'''N동타'''{{{-2 (Nk Pseudo)}}} : 전술했던 2동타와 같이 n개의 타일을 동시에 치는 것이며 영문명의 k는 Key를 의미함. [ *예시3 3동 = 3k Pseudo / 4동타 = 4k Pseudo 등...]
48'''N동타'''{{{-2 (Nk Pseudo)}}} : 전술했던 2동타와 같이 n개의 타일을 동시에 치는 것이며 영문명의 k는 Key를 의미함. [*예시3 3동 = 3k Pseudo / 4동타 = 4k Pseudo 등...]
4949 * 유의어 : N동
5050'''마법진'''{{{-2 (MagicShape)}}} : 같은 박자가 쭉 나오는 채보를 변속과 소용돌이로 모양을 낸 것.
5151 * 유의어 : 법진
52'''뱀'''{{{-2 ( ? )}}} : 같은 박자의 타일을 뱀처럼 휘어 놓은 것을 의미 함, 자세한 내용은 [[자주 사용되는 트랙 패턴]]문서 참고 [ *예시4 예시 : [[파일:패턴 뱀.png]]]
52'''뱀'''{{{-2 ( ? )}}} : 같은 박자의 타일을 뱀처럼 휘어 놓은 것을 의미 함, 자세한 내용은 [[자주 사용되는 트랙 패턴]]문서 참고 [*예시4 예시 : [[파일:패턴 뱀.png]]]
5353 * 유의어 : X
54'''성게'''{{{-2 ( ? )}}} : 빠른 박자의 동타를 반복하는 구간에서 채보를 성게 모양으로 만든 것을 의미 함. [ *예시5 예시 : [[파일:패턴 성게.png]]]
54'''성게'''{{{-2 ( ? )}}} : 빠른 박자의 동타를 반복하는 구간에서 채보를 성게 모양으로 만든 것을 의미 함. [*예시5 예시 : [[파일:패턴 성게.png]]]
5555 * 유의어 : X
5656'''비피엠'''{{{-2 (BPM)}}} : Beat Per Minute, 1분에 나오는 비트의 수를 뜻한다. 쉽게 말하면 곡의 속도를 말하는 용어.
5757 * 유의어 : 브픔, BPM
5858'''기본 비피엠'''{{{-2 (Default BPM)}}} : 곡의 기본 브픔을 의미함, 변속이 있지 않은 이상 변하지 않음.
5959 * 유의어 : 기본 브픔, 기본 BPM
60'''타일 비피엠'''{{{-2 (Tile BPM)}}} : 달팽이와 토끼로 조정한 맵의 브픔을 의미, 대부분은 기본 브픔을 따름.[ * X2, X4, X8, X16, X32, X64, x128...[br]X0.5 X0.25 X0.125...]
60'''타일 비피엠'''{{{-2 (Tile BPM)}}} : 달팽이와 토끼로 조정한 맵의 브픔을 의미, 대부분은 기본 브픔을 따름.[* X2, X4, X8, X16, X32, X64, x128...[br]X0.5 X0.25 X0.125...]
6161 * 유의어 : 타일 브픔, 타일 BPM
62'''체감 비피엠'''{{{-2 ( ? BPM)}}} : 각도와 타일 브픔으로 구해지는 실제로 쳐야 하는 브픔을 의미.[ * (타일 브픔) × 180° / (그 타일의 각도) EX) 227 *180/270]
62'''체감 비피엠'''{{{-2 ( ? BPM)}}} : 각도와 타일 브픔으로 구해지는 실제로 쳐야 하는 브픔을 의미.[* (타일 브픔) × 180° / (그 타일의 각도) EX) 227 *180/270]
6363 * 유의어 : 체감 브픔, 체감 BPM
6464'''난이도 가시'''{{{-2 (Diff. Spike)}}} : 난이도가 순간적으로 높아지는 구간을 의미.
6565 * 유의어 : 가시
......
7878'''타법'''{{{-2 ( ? )}}} : 키보드를 누르는 방법, 한 손 기반부터 안밖, 밖안, 계단, 역계단 등등 다양함.
7979 * 유의어 : X
8080=== 레벨 ===
81'''~슈퍼 믹스'''{{{-2 (~ Super Mix)}}} : 한 작곡가의 곡 여러 개를 짜깁기하여 만든 곡 또한 맵. [ *예시6 카슈믹 : Camellia Super Mix / 프슈믹 : Frums Super Mix 등..]
81'''~슈퍼 믹스'''{{{-2 (~ Super Mix)}}} : 한 작곡가의 곡 여러 개를 짜깁기하여 만든 곡 또한 맵. [*예시6 카슈믹 : Camellia Super Mix / 프슈믹 : Frums Super Mix 등..]
8282 * 유의어 : 슈믹
83'''~메가 믹스'''{{{-2 (~ Megamix)}}} : 한 작곡가의 곡 여러 개를 이어 만든 곡 또한 맵. [ * 슈퍼믹스는 짜깁기지만 메가믹스는 곡을 그대로 잇는 것을 의미하기에 다름.]
83'''~메가 믹스'''{{{-2 (~ Megamix)}}} : 한 작곡가의 곡 여러 개를 이어 만든 곡 또한 맵. [* 슈퍼믹스는 짜깁기지만 메가믹스는 곡을 그대로 잇는 것을 의미하기에 다름.]
8484 * 유의어 : 메믹
85'''마녀'''{{{-2 (Witch of the Hollows)}}} : e_ku의 곡, [[Witch of the Hollows]]를 마녀로 줄여 말하는 단어[ * 가끔 takehirotei - The Witch Hunt를 지칭할 때도 있지만 이때는 주로 마녀사냥이라고 함].
85'''마녀'''{{{-2 (Witch of the Hollows)}}} : e_ku의 곡, [[Witch of the Hollows]]를 마녀로 줄여 말하는 단어[* 가끔 takehirotei - The Witch Hunt를 지칭할 때도 있지만 이때는 주로 마녀사냥이라고 함].
8686 * 유의어 : X
8787'''FBA'''{{{-2 (FBA)}}} : 카멜리아의 곡, [[FINAL BLENDERMAN APPEARED.|FINAL BLENDERMAN APPEARED. (feat. RichaadEB)]]의 약자.
8888 * 유의어 : X
8989'''헬로'''{{{-2 ( ? )}}} : 카멜리아의 곡, [[Hello (BPM) 2021]]을 주로 의미, Hello (BPM) 202N을 통칭하기도 함.
90 * 유의어 : Hello 202N [ *예시7 Hello 2023, Hello 2024 등...]
90 * 유의어 : Hello 202N [*예시7 Hello 2023, Hello 2024 등...]
9191'''혼자 능지'''{{{-2 (Alone intelligence)}}} : 카멜리아의 곡, Alone intelligence를 직역해 부르는 단어.
9292 * 유의어 : X
9393'''바나나 우유'''{{{-2 ( ? )}}} : hugepulse의 곡, マリキュールの大地を駆けて을 의미함, [[가지지]]가 이 곡을 사용한 맵을 배포할 때 최초 클리어 보상으로 바나나 우유를 건 것으로 유래 됨.
......
9696 * 유의어 : 몰?루, 몰루법진
9797'''스불재'''{{{-2 (Selfmade Disaster)}}} : [[Plum]]의 곡, Selfmade Disaster을 의미함.
9898 * 유의어 : 스스로 불러온 재앙
99'''보라 궁전'''{{{-2 (Purple Palace)}}} : SUPER MWC KART[ * [[BilliumMoto]] x Se-U-Ra x Silentroom의 곡, Purple Palace의 직역.
99'''보라 궁전'''{{{-2 (Purple Palace)}}} : SUPER MWC KART[* [[BilliumMoto]] x Se-U-Ra x Silentroom의 곡, Purple Palace의 직역.
100100 * 유의어 : X
101101'''Mdr'''{{{-2 (Mdr)}}} : [[Frums]]의 곡, Mdrqnxtagon이 너무 길다 보니 앞 3글자만 잘라 부르는 것.
102102 * 유의어 : X
......
105105'''다중팔'''{{{-2 (multi_arm)}}} : [[Frums]]의 곡, [[multi_arm]]의 직역
106106 * 유의어 : X
107107'''타법 이즈 마인'''{{{-2 (Tabub is mine)}}} : Seedbean의 곡, A8C32J4HNVU8EWHDZA@8AHC9WJANCWJ을 의미함, 불과 얼음의 춤 플레이어, [[민트]]가 [[https://youtu.be/BY_b3NBqZj0?t=12|이 영상]]에서 최초 클리어를 먹기 위해 타법을 가리려고 사용된 텍스트에서 유래 됨.
108 * 유의어 : A8~~ [ * 가끔 곡 제목이 너무 길기에 A8을 가장 앞에 붙이고 뒤에 아무 글자나 적어서 표기함]
108 * 유의어 : A8~~ [* 가끔 곡 제목이 너무 길기에 A8을 가장 앞에 붙이고 뒤에 아무 글자나 적어서 표기함]
109109=== 기타 ===
110110'''가독성'''{{{-2 (Readability)}}} : 맵의 채보가 잘 읽히는 정도, 이펙트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채보 자체의 문제도 있음.
111111 * 유의어 : 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