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45 vs r46
... ...
41 41
당연히 이 현상을 저 혼자 해결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코스모피디아를 통해 사람들이 몰랐던 좋은 레벨들을 찾고, 공유하며, 플레이하는 것을 유도할 수는 있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유튜브 알고리즘이 아닌 다른 경로로 자신의 레벨을 간접적으로나마 홍보할 수 있겠다는 점에서 코스모피디아의 역할이 이 게임과 커뮤니티에 최소한 부정적으로 작용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코스모피디아도 레벨 등재 조건이 유튜브 조회수와 현재는 거의 방치된 Steam 창작마당의 구독자 수인 만큼 이 현상을 완화할 만한 다른 수단도 모색할 예정입니다. ]
42 42
= 역사 =
43 43
== 구상 단계 ==
44
코스모피디아의 소유자 [[디뮤직]]이 처음 코스모피디아를 만들기 시작한 이유'나무위키에 [[A Dance of Fire and Ice|얼불춤]] 커뮤니티와 관련된 서술이 부족하'였다. 나아가 '[[커스텀 레벨]]의 단독 문서 있어서 그곳에서 여러 정보와 이모저모 수 있으면 좋겠다'라는 생각 들어 얼불춤만을 다루는 위키 대해 구상하게 되었다.
45
처음 시작은 디뮤직이 주변에 관심 있는 사람들을 모아 디스코드 서버를 만든 것인데, 여기에서 위키의 이름과 도메인이 정해졌다. 다만 이때는 디뮤직과 서버 관리자를 제외하면 위키 제작에 동참하는 사람이 없다시피했는데, 이 상태로 약 2개월을 보내게 된다.
44
코스모피디아의 소유자 디뮤직이 처음 이 위키를 만들기 시작한 계기는 나무위키에 [[A Dance of Fire and Ice|얼불춤]] 커뮤니티와 관련된 정보가 충분히 서술되지 않았기 때문다. 디뮤직은 얼불춤에 대한 더 깊이 있는 정보와 커뮤니티 중심의 자료를 한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위키의 필요성을 느꼈다. 특히,'커스텀 레벨'에 대한 단독 문서 통해 다양한 정보와 관련 쉽게 접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서 얼불춤 전용 위키 구상하게 되었다.
45
46
위키 제작의 초기 단계는 디뮤직이 주변의 관심 있는 사람들을 모아 디스코드 서버를 만드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이 서버에서 위키의 이름과 도메인이 결정되었으나, 당시 위키 제작에 실질적으로 참여하는 사람은 디뮤직과 서버 관리자를 제외하면 거의 없었다. 이로 인해 프로젝트는 상당 기간 동안 느리게 진행되었고, 약 2개월 동안은 큰 진전이 없었다.
47
48
그 당시 디뮤직은 위키 제작을 혼자서 진행하기에는 어려움이 크다고 느끼고 있었고, 추가적인 도움 없이는 프로젝트를 완성하기 힘들다고 판단했다.
46 49
== 본격화 ==
47 50
코스모피디아의 출범에는 [[불과 얼음의 춤 마이너 갤러리]]의 기여가 큰 역할을 했다. 디뮤직이 혼자서는 위키 제작을 진행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간단한 구인 공고를 갤러리에 게시하게 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buralchoom/29784|#]] 이 글을 통해 약 40명의 사람들이 점차 위키 제작에 참여하게 되었고, 그 결과 '코스모피디아'의 기본 틀이 잡히게 되었다.
48 51
== 정식 출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