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모피디아(비교)
r46 vs r47 | ||
---|---|---|
... | ... | |
22 | 22 | || '''기타''' ||[[https://www.youtube.com/channel/UCYVJuDw64YXVpv1EcS3UUDQ|[[파일:Youtube.png|width=20]]]] [[https://discord.gg/ADAE2kpeq3|[[파일:Discord.png|width=20]]]] [[https://x.com/cosmopedia_|[[파일:X.jpg|width=20]]]] || |
23 | 23 | [clearfix] |
24 | 24 | [목차] |
25 | = 개요 = |
|
25 | == 개요 == |
|
26 | 26 | >Cosmopedia: An Unofficial Wiki of Rhythm Game 'A Dance of Fire and Ice' |
27 | 27 | >리듬게임 '불과 얼음의 춤'의 비공식 위키, 코스모피디아입니다. |
28 | 28 | '''코스모피디아'''(영문명 Cosmopedia)는 리듬게임 [[A Dance of Fire and Ice|불과 얼음의 춤]]에 대해 다루는 인터넷 웹 기반 위키이다. |
... | ... | |
39 | 39 | 마지막 목표는 양질의 레벨들을 코스모피디아를 통해 소개하는 것입니다. 유저들이 만드는 컨텐츠가 주가 되어 흘러가는 이 게임의 특성상 그 중심에 양질의 커스텀 레벨들이 있다는 것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을 것입니다. 다만 이 커스텀 레벨을 세상에 소개하는 방식이 유튜브 영상밖에 없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그렇기에 항상 소위 어그로가 끌리는 레벨들이 주류를 차지하게 되고, 유튜브 조회수가 곧 인지도와 인기가 되는 한 이러한 현상이 계속되어 결국 게임과 커뮤니티를 긍정적이지 못한 방향으로 이끌 것이라 저는 생각합니다.[* 물론 이것은 제 생각일 뿐이고 당연히 여러분의 생각도 그대로 존중받아 마땅합니다.] |
40 | 40 | |
41 | 41 | 당연히 이 현상을 저 혼자 해결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코스모피디아를 통해 사람들이 몰랐던 좋은 레벨들을 찾고, 공유하며, 플레이하는 것을 유도할 수는 있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유튜브 알고리즘이 아닌 다른 경로로 자신의 레벨을 간접적으로나마 홍보할 수 있겠다는 점에서 코스모피디아의 역할이 이 게임과 커뮤니티에 최소한 부정적으로 작용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코스모피디아도 레벨 등재 조건이 유튜브 조회수와 현재는 거의 방치된 Steam 창작마당의 구독자 수인 만큼 이 현상을 완화할 만한 다른 수단도 모색할 예정입니다. ] |
42 | ||
43 | == |
|
42 | ||
43 | == 역사 == |
|
44 | === 구상 단계 === |
|
44 | 45 | 코스모피디아의 소유자인 디뮤직이 처음 이 위키를 만들기 시작한 계기는 나무위키에서 [[A Dance of Fire and Ice|얼불춤]] 커뮤니티와 관련된 정보가 충분히 서술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디뮤직은 얼불춤에 대한 더 깊이 있는 정보와 커뮤니티 중심의 자료를 한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위키의 필요성을 느꼈다. 특히, 각 '커스텀 레벨'에 대한 단독 문서를 통해 다양한 정보와 관련 이슈를 쉽게 접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서 얼불춤 전용 위키를 구상하게 되었다. |
45 | 46 | |
46 | 47 | 위키 제작의 초기 단계는 디뮤직이 주변의 관심 있는 사람들을 모아 디스코드 서버를 만드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이 서버에서 위키의 이름과 도메인이 결정되었으나, 당시 위키 제작에 실질적으로 참여하는 사람은 디뮤직과 서버 관리자를 제외하면 거의 없었다. 이로 인해 프로젝트는 상당 기간 동안 느리게 진행되었고, 약 2개월 동안은 큰 진전이 없었다. |
47 | 48 | |
48 | 49 | 그 당시 디뮤직은 위키 제작을 혼자서 진행하기에는 어려움이 크다고 느끼고 있었고, 추가적인 도움 없이는 프로젝트를 완성하기 힘들다고 판단했다. |
49 | == 본격화 == |
|
50 | === 본격화 === |
|
50 | 51 | 코스모피디아의 출범에는 [[불과 얼음의 춤 마이너 갤러리]]의 기여가 큰 역할을 했다. 디뮤직이 혼자서는 위키 제작을 진행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간단한 구인 공고를 갤러리에 게시하게 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buralchoom/29784|#]] 이 글을 통해 약 40명의 사람들이 점차 위키 제작에 참여하게 되었고, 그 결과 '코스모피디아'의 기본 틀이 잡히게 되었다. |
51 | == 정식 출시 == |
|
52 | === 정식 출시 === |
|
52 | 53 | 그리고 마침내 코스모피디아는 정식 출시를!!!!!! |
53 | 54 | |
54 | 55 | 아직 못했는데 꼭 했으면 좋겟당 |
55 | = 위키 방침 = |
|
56 | 57 | |
57 | = |
|
58 | == 위키 방침 == |
|
59 | ||
60 | == 관련 문서 == |
|
61 | * [[디뮤직]] |
|
58 | 62 | [[분류:코스모피디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