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39 vs r40
... ...
40 40
당연히 이 현상을 저 혼자 해결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코스모피디아를 통해 사람들이 몰랐던 좋은 레벨들을 찾고, 공유하며, 플레이하는 것을 유도할 수는 있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유튜브 알고리즘이 아닌 다른 경로로 자신의 레벨을 간접적으로나마 홍보할 수 있겠다는 점에서 코스모피디아의 역할이 이 게임과 커뮤니티에 최소한 부정적으로 작용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다만 코스모피디아도 레벨 등재 조건이 유튜브 조회수와 현재는 거의 방치된 Steam 창작마당의 구독자 수인 만큼 이 현상을 완화할 만한 다른 수단도 모색할 예정입니다. ]
41 41
= 역사 =
42 42
== 구상 단계 ==
43
코스모피디아의 소유자 디뮤직이 처음 코스모피디아를 만들기 시작한 이유는 '나무위키에 얼불춤 커뮤니티와 관련된 서술이 부족하다'였다. 나아가 '각 커스텀 레벨의 단독 문서가 있어서 그곳에서 여러 정보와 이모저모를 볼 수 있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이 들어 얼불춤만을 다루는 위키에 대해 구상하게 되었다.
43
코스모피디아의 소유자 [[디뮤직]]이 처음 코스모피디아를 만들기 시작한 이유는 '나무위키에 [[A Dance of Fire and Ice|얼불춤]] 커뮤니티와 관련된 서술이 부족하다'였다. 나아가 '각 [[커스텀 레벨]]의 단독 문서가 있어서 그곳에서 여러 정보와 이모저모를 볼 수 있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이 들어 얼불춤만을 다루는 위키에 대해 구상하게 되었다.
44 44
처음 시작은 디뮤직이 주변에 관심 있는 사람들을 모아 디스코드 서버를 만든 것인데, 여기에서 위키의 이름과 도메인이 정해졌다. 다만 이때는 디뮤직과 서버 관리자를 제외하면 위키 제작에 동참하는 사람이 없다시피했는데, 이 상태로 약 2개월을 보내게 된다.
45 45
== 본격화 ==
46 46
코스모피디아의 출범에는 [[불과 얼음의 춤 마이너 갤러리]]의 역할이 크게 작용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