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29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레벨 에디터/이벤트
(r244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레벨 설정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800><table bordercolor=#debb7b><bgcolor=#000><color=#fff><-2> [[파일:Editor Settings Level.png|width=50]] '''{{{+2 레벨 설정}}}''' || ||<rowbgcolor=#000><rowcolor=#fff><width=25%> '''이름'''[* ^^{{{#ff0000 *}}}^^ 표시가 있는 경우 레벨을 Steam 창작마당에 업로드하기 위해 꼭 입력해야 하는 항목입니다.] || '''설명''' || ||<colbgcolor=#000><colcolor=#fff> '''작곡가''' ^^{{{#ff0000 *}}}^^ || 작곡가를 입력한다. 만약 [[https://7thbe.at/verified-artists/adofai|7th Beat Games 저작권 확인 사이트]]에 기재된 작곡가이면 연관 검색어 형식으로 그 작곡가의 활동명이 뜨고, 이를 클릭할 시 자동으로 입력되며 팝업이 뜨고 거기서 그 작곡가의 허가 조건을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로 갈 수 있는 버튼이 나온다. 물론 거절한 작곡가일 시 경고문이 뜨고 선택이 되지 않는다. || || '''작곡가 특별 유형''' || 만일 작곡가의 허가 조건을 명시할 필요가 없는 특수한 경우일 시[* 레벨 제작자 본인이 작곡가인 경우, 곡이 퍼블릭 라이선스인 경우.] 여기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창작마당에 저작권이 걸린 레벨을 올리면서 이 설정을 악용하는 사례가 생기고 있다. || || '''작곡가 허락 증명''' || 저작권 확인 사이트가 생기기 전에 주로 사용되던 방법으로, 작곡가가 곡의 사용을 허가했다는 내용의 스크린샷을 넣을 수 있다. 작곡가가 저작권 확인 사이트에 기재됐거나 작곡가 특별 유형에서 설정을 할 시 비활성화된다. 여러 작곡가의 합작곡인 경우 각 작곡가의 허가 조건을 저작권 확인 사이트에서 캡쳐하여 한 이미지로 묶고 이 설정을 활용해 허가 조건을 만족했음을 보여줄 수 있다. || || '''곡명''' ^^{{{#ff0000 *}}}^^ || 곡 제목을 입력한다. || || '''만든이''' ^^{{{#ff0000 *}}}^^ || 레벨 제작자를 입력한다. || || '''포털 이미지''' ^^{{{#ff0000 *}}}^^ || Steam 창작마당에서 레벨의 포탈 이미지, 즉 썸네일이 될 이미지를 업로드한다. || || '''레벨 아이콘''' || Steam 창작마당에서 레벨에 해당하는 타일에 들어갈 아이콘을 설정한다. 입력하지 않을 시 빈칸으로 설정된다. || || '''레벨 아이콘 색상''' || 위에서 정한 레벨 아이콘의 색상을 정한다. 해당 색상은 Steam 페이지에서 이 레벨의 포탈 뒷배경의 색상이 된다. 기본값은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1px; margin: 1px 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fff;" '''{{{#003f52 #003f52}}}'''}}}. || || '''곡 미리듣기 시작''' || Steam 창작마당에서 레벨에 해당하는 타일에 안착했을 때 곡의 어디 부분부터 들려줄 것인지 정한다. 단위는 초이며 기본값은 0초이다. || || '''곡 미리듣기 끝''' || Steam 창작마당에서 레벨에 해당하는 타일에 안착했을 때 곡의 어디 부분까지 들려줄 것인지 정한다. 단위는 초이며 기본값은 10초이다. 또한 곡의 미리듣기는 20초까지밖에 적용이 되지 않기 때문에 곡 미리듣기 시작에서 정해놓은 시간에서 20초 이상 차이가 나는 시간까지 설정해놔도 20초까지만 재생된다. || || '''광과민성 경고''' || 광과민성 발작 경고를 표시할 지를 정한다. || || '''레벨 설명''' || Steam 창작마당에서 표시될 레벨의 설명을 입력한다. 입력하지 않을 시 빈칸으로 설정된다. || || '''레벨 태그'''[* [[코스모피디아]]의 [[코스모피디아:레벨 태그|레벨 태그]]와는 다르다.] || Steam 창작마당에서 레벨에 설정될 태그를 정한다. 인게임에선 보이지 않는다. || || '''작곡가 링크''' || 작곡가의 컨텐츠에 도달할 수 있는 링크를 입력한다. 구분은 ,(쉼표)로 한다. 작곡가 항목에 저작권 확인 사이트에 기재된 작곡가를 입력할 시 자동으로 채워지는 경우도 있다. || || '''배속 도전 목표''' || Steam 창작마당에서 배속 도전을 할 시 목표를 몇 배속으로 할 지를 정한다. 기본값은 0이며 설정해놓은 배속 도전을 창작마당에서 완료했을 시 포탈에 빨간 랜턴이 달린다. || || '''난이도''' || Steam 창작마당에서 표시되는 난이도를 정한다. 1~3은 {{{#8AFFAB #8AFFAB}}} 색상으로 표기되고 Steam 페이지의 Difficulty가 Easy로 표기되고, 4~6은 {{{#FFEE6B #FFEE6B}}} 색상으로 표기되고 Steam 페이지의 Difficulty가 Medium으로 표기되며, 7~9은 {{{#FF4257 #FF4257}}} 색상으로 표기되고 Steam 페이지의 Difficulty가 Tough로 표기되고, 10은 {{{#FD8AFF #FD8AFF}}} 색상으로 표기되고 Steam 페이지의 Difficulty가 Very Tough로 표기된다. || || '''내보내기''' || Steam 창작마당에 레벨을 업로드한다. 이 기능이 활성화되려면 위 설정들 중 ^^{{{#ff0000 *}}}^^ 표시가 되어있는 설정을 모두 채워야 하며, 활성화된 상태에서 내보내기를 누를 시 작곡가, 제목, 만든이, 포털 이미지, 레벨 아이콘, 레벨 설명, 레벨 태그, 튜토리얼 수를 확인할 수 있으며, Steam 이용약관에 동의한다는 항목에 체크를 하고 Steam 창작마당에 세계 게시 버튼을 누르면 창작마당에 레벨이 업로드된다. 또는 그 옆에 있는 업데이트 버튼을 눌러 본인이 이미 업로드했던 레벨들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4.0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29)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29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