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분류
| 출시일 | ||
2020년 1월 24일(v1.6.0) | ||
| 처음 등장하는 패턴 | ||
트레실로 | ||
| 분류 | ||
세트 레벨, 세트2 | ||
| 튜토리얼 개수 | ||
6개 | ||
| 해금 조건 | ||
6번째 세계 클리어 (PC) 8, 9번째 세계 클리어 (모바일) | ||
| 관련 도전 과제 | | 클리어 시 해금 행성 색상 | |
● 연보라색 (#9162AB) ● 회색 (#9190AB) |
1. 개요[편집]
A Dance of Fire and Ice의 공식 레벨 중 세트2의 다섯번째 레벨인 11번째 세계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2. 특징[편집]
3. 튜토리얼[편집]
3.1. 11-1 나선[편집]
11-1 나선 Helix | |||||
| |||||
BPM | 80 | ||||
타일 수 | 19 | ||||
배우는 패턴 | 16분박으로 꼬인 길 |
9번째 세계와 같이 16분박을 활용한 패턴이 등장한다.
특이하게 BPM이 160에서 시작하지만 바로 BPM을 반으로 줄이는 달팽이 타일을 밟고 진행하므로 실질적으로 이 튜토리얼의 BPM은 80이다.
4번째 세계보다 느리므로 초심자도 충분히 눈으로 패턴을 읽을 수 있다.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특이하게 BPM이 160에서 시작하지만 바로 BPM을 반으로 줄이는 달팽이 타일을 밟고 진행하므로 실질적으로 이 튜토리얼의 BPM은 80이다.
4번째 세계보다 느리므로 초심자도 충분히 눈으로 패턴을 읽을 수 있다.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3.2. 11-2 어지럽게 꼬인 길[편집]
11-2 어지럽게 꼬인 길 Wild Spaghetti | |||||
| |||||
BPM | 130 | ||||
타일 수 | 37 | ||||
배우는 패턴 | 연속 트레실로와 사각형 |
4번째 세계에 등장했던 스파게티 모양의 트레실로와 사각형 패턴이 등장한다.
여기서는 트레실로가 연속해서 2번 더 들어간 모양으로 소용돌이로 인해 행성의 공전 방향이 수시로 바뀌는 점에 유의해서 진행하면 쉽다.
해당 구간의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는 트레실로가 연속해서 2번 더 들어간 모양으로 소용돌이로 인해 행성의 공전 방향이 수시로 바뀌는 점에 유의해서 진행하면 쉽다.
해당 구간의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3.3. 11-3 문어[편집]
11-3 문어 Octopi | |||||
| |||||
BPM | 175 | ||||
타일 수 | 50 | ||||
배우는 패턴 | 육각형 복합 |
8번째 세계에 등장했던 육각형 모양의 패턴이 변형되어 등장한다.
이번 메인 레벨의 주요 패턴 중 하나로, 첫 육각 모양의 박자는 셋잇단에서 마지막 박자가 생략된 형태의 박자로 여기 전체 패턴 중 가장 중요한 포인트라고 할 수 있다.
메인 레벨에서는 이 패턴을 수행하는 도중에 매우 정신없는 카메라 무빙이 추가되므로 여기서 박자를 잘 익혀 놓도록 하자.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이번 메인 레벨의 주요 패턴 중 하나로, 첫 육각 모양의 박자는 셋잇단에서 마지막 박자가 생략된 형태의 박자로 여기 전체 패턴 중 가장 중요한 포인트라고 할 수 있다.
메인 레벨에서는 이 패턴을 수행하는 도중에 매우 정신없는 카메라 무빙이 추가되므로 여기서 박자를 잘 익혀 놓도록 하자.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3.4. 11-4 슬로우 모션[편집]
11-4 슬로우 모션 Slow Motion Turns | |||||
| |||||
BPM | 175 | ||||
타일 수 | 22 | ||||
배우는 패턴 | 잦은 변속과 셋잇단 |
8번째 세계에 등장했던 반육각형 모양의 패턴이 등장한다.
특이한 점은, 셋잇단 이후 달팽이 타일을 밟은 직후의 두 270도 타일은 실제로는 원래 느려지기 전의 BPM에서 2박의 길이에 해당한다. 즉 해당 구간의 달팽이 타일은 원래 BPM의 1.5/2=0.75배 만큼 느리게 하고 그 다음에 나오는 토끼 타일은 이와 반대로 2/1.5=4/3(또는 1.333...)배 만큼 빠르게 하여 원래 BPM으로 돌려놓는다.
쉬어가는 박자는 실제 박자와 매치되는 모양이 다르지만, 박자 자체는 쉬운 편이므로 한 번 해보면 금방 익숙해질 수 있을 것이다.
해당 구간의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특이한 점은, 셋잇단 이후 달팽이 타일을 밟은 직후의 두 270도 타일은 실제로는 원래 느려지기 전의 BPM에서 2박의 길이에 해당한다. 즉 해당 구간의 달팽이 타일은 원래 BPM의 1.5/2=0.75배 만큼 느리게 하고 그 다음에 나오는 토끼 타일은 이와 반대로 2/1.5=4/3(또는 1.333...)배 만큼 빠르게 하여 원래 BPM으로 돌려놓는다.
쉬어가는 박자는 실제 박자와 매치되는 모양이 다르지만, 박자 자체는 쉬운 편이므로 한 번 해보면 금방 익숙해질 수 있을 것이다.
해당 구간의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3.5. 11-5 우주선 함대[편집]
11-5 우주선 함대 The Starship Fleet | |||||
| |||||
BPM | 140 | ||||
타일 수 | 45 | ||||
배우는 패턴 | 16분박 엇박 심화 |
첫 번째 튜토리얼과 비슷하게 16분박을 활용한 패턴이 등장한다.
이번 메인 레벨의 두 번째 주요 패턴으로, 패턴 중간중간 엇박과 정박이 수시로 바뀌어서 처음 보면 상당히 헷갈릴 수 있는 모양의 패턴이다.
게다가 이 패턴은 곡의 하이라이트인 후반부에 등장하므로 이 패턴을 잘 익혀 놓지 않으면 메인 레벨의 빠른 BPM과 합쳐져 자주 죽을 수 있음과 동시에 빡침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 튜토리얼 길 모양의 박자 감각을 특히 유심히 익혀 놓을 필요가 있다.
여담으로 메인 레벨의 배속을 높이면 길의 뾰족한 부분인 엇박 구간은 셋잇단으로 뭉게서 처리해도 넘어가지긴 한다.
해당 구간의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
이번 메인 레벨의 두 번째 주요 패턴으로, 패턴 중간중간 엇박과 정박이 수시로 바뀌어서 처음 보면 상당히 헷갈릴 수 있는 모양의 패턴이다.
게다가 이 패턴은 곡의 하이라이트인 후반부에 등장하므로 이 패턴을 잘 익혀 놓지 않으면 메인 레벨의 빠른 BPM과 합쳐져 자주 죽을 수 있
여담으로 메인 레벨의 배속을 높이면 길의 뾰족한 부분인 엇박 구간은 셋잇단으로 뭉게서 처리해도 넘어가지긴 한다.
해당 구간의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
3.6. 11-6 엮인 하트[편집]
11-6 엮인 하트 Weaved Hearts | |||||
| |||||
BPM | 180 | ||||
타일 수 | 63 | ||||
배우는 패턴 | 사각형 심화 |
6번째 세계와 비슷한 모양의 사각형 패턴이 등장한다.
다만 6번째 세계의 사각형 패턴과 다른 점은, 6번째 세계에서는 먼저 사각형 패턴으로 들어간 뒤에 엇박으로 진행하고 정박으로 돌아오는 반면, 이 튜토리얼의 사각형 패턴은 반대로 먼저 엇박을 들어간 뒤에 사각형 패턴 진입 후 정박으로 되돌아온다는 순서의 차이가 있다.
앞선 튜토리얼보다 박자는 조금 더 단순하고, 한 번 더 반복하므로 급격히 빨라진 BPM만 주의하면 충분히 익힐 수 있는 패턴이다.
해당 구간의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다만 6번째 세계의 사각형 패턴과 다른 점은, 6번째 세계에서는 먼저 사각형 패턴으로 들어간 뒤에 엇박으로 진행하고 정박으로 돌아오는 반면, 이 튜토리얼의 사각형 패턴은 반대로 먼저 엇박을 들어간 뒤에 사각형 패턴 진입 후 정박으로 되돌아온다는 순서의 차이가 있다.
앞선 튜토리얼보다 박자는 조금 더 단순하고, 한 번 더 반복하므로 급격히 빨라진 BPM만 주의하면 충분히 익힐 수 있는 패턴이다.
해당 구간의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4. 11-X Heracles[편집]
<color=#C8CBE4 > | |||||||||||
| 레벨 제작자 | |||||||||||
Exschwasion | |||||||||||
| 원본 레벨 | |||||||||||
| 레벨 정보 | |||||||||||
곡 길이 2:00 | 타일 수 433 | 배속 목표 x1.2 | |||||||||
| 주요 패턴 | |||||||||||
| 난이도 | |||||||||||
5. 여담[편집]
- 우주선 함대 파트의 박자와 맞도록 곡의 일부가 수정되었다.
[1] 최대 타일 BPM 193, 체감 BPM 386
모든 문서는 CC BY-NC-SA 4.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