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지지 (비교)
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r80 vs r81 | ||
---|---|---|
... | ... | |
376 | 376 | |
377 | 377 | 이때 TUF와 ARES와 협력 관계를 맺어 성장을 돕는 대신 도움을 받기도 했다.[* Phrygia가 이때 들어왔다.] |
378 | 378 | |
379 | 사실 기획된 작업은 공개된 것보다 훨씬 방대했다. 서버 또한 'COOSMOS:전원의 정원[* 메인 서버의 이름이 될 예정이었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모든 게이머가 즐길 수 있는 컨텐츠를 운영하는 서버이다.]'과 'COOSMOS:꽃잎이 만나는 곳[*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모든 플레이어가 들어올 만한 흥미로운 시스템이 탑재된 서버이다.] |
|
379 | 사실 기획된 작업은 공개된 것보다 훨씬 방대했다. 서버 또한 'COOSMOS:전원의 정원[* 메인 서버의 이름이 될 예정이었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모든 게이머가 즐길 수 있는 컨텐츠를 운영하는 서버이다.]'과 'COOSMOS:꽃잎이 만나는 곳[*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모든 플레이어가 들어올 만한 흥미로운 시스템이 탑재된 서버이다.]으로 분리될 예정이었지만 기획 자체가 너무 방대해 계속 미뤄지다 2024년 1월 22일 얼접과 함께 메인 서버의 운영을 종료하며 자연스럽게 무산됐다.[* COOSMOS의 존재 자체가 얼접에 영향을 적지 않게 주었다고 밝혔다.][* 시트 이름이 'COOSMOS:시들지 않는 별'인 이유도 이 때문이다.] |
|
380 | 380 | |
381 | 이름이 COOSMOS인 이유는 한 곳으로 수렴하는 꽃의 형태에서 영감을 받아 꽃과 얼불춤의 우주를 잘 조합해 만들었다고 한다[* 부제에 뜬금없이 '정원'과 '시듦'이 들어간 이유다.]. O가 2개인 이유는 시트의 배너에서 알 수 있듯이 무한 기호를 표현한 것이다. |
|
381 | 이름이 COOSMOS인 이유는 한 곳으로 수렴하는 꽃의 형태에서 영감을 받아, 꽃과 얼불춤의 우주를 잘 조합해 만들었다고 한다[* 부제에 뜬금없이 '정원'과 '시듦'이 들어간 이유다.]. O가 2개인 이유는 시트의 배너에서 알 수 있듯이 무한 기호를 표현한 것이다. |
|
382 | 382 | === 맵따먹기(Chartkus) === |
383 | 서버의 대표 이벤트중 하나로, 가지지가 단독 운영했다. 상대 팀보다 높은 정확도로 플레이해 레벨을 점령하거나 랜덤하게 올라오는 미션들을 상대 팀보다 빠르게 완수해 포인트를 얻어 최종 포인트를 겨루는 미니게임이다. |
|
383 | 서버의 대표 이벤트중 하나로, 가지지가 단독 운영했다. 상대 팀보다 높은 정확도로 플레이 해 레벨을 점령하거나 랜덤하게 올라오는 미션들을 상대 팀보다 빠르게 완수해 포인트를 얻어 최종 포인트를 겨루는 미니게임이다. |
|
384 | 384 | |
385 | ||
385 | 매 시즌마다 새로운 요소를 들고 와 인기가 매우 좋았다. 시즌 2의 경우 팀 미션과 오리지널 레벨이 추가되었으며, 시즌 3의 경우 팀이 4개로 늘었고, 시즌 4의 경우 에디팅 요소까지 추가되었다[* 시즌 4의 경우 다시 한번 하면 안되냐고 예기를 들을 정도로 매우 성공한 시즌이었다. 시스템 자체가 매우 탄탄하게 이루어져 있어 꼼수 없이 실력으로만 승부가 이루어졌으며, 실력과 관계 없이 누구든지 팀에 관여할 수 있었다. 이전 시즌들과 달리 에디터도 참여할 수 있었으며, 플레이어와 동등한 영향력을 펼칠 수 있었다. 또한 조건에 맞게 레벨을 제작하면 추가로 포인트를 지급했는데, 덕분에 색다른 레벨이 여럿 제작되었다. 추가로 에디팅 미션에 퍼즐 해석 미션에 스파이 찾기 미션까지 정말 다양한 미션이 주어졌다. [[https://www.youtube.com/watch?v=SdjdYiLgvPw|맵따먹기4 레벨 호감도 순위]]]. 때문에 시즌 5의 기대가 엄청났는데, 오리지널 곡도 제작하며 스케일을 키우다가 얼접과 함께 메인 서버의 운영을 종료하며 자연스럽게 무산됐다.[* 오리지널 곡 리스트의 경우 COOSMOS 메인 시트에 존재한다.] |
|
386 | 386 | |
387 | 387 | [[Icyxis]], [[https://www.youtube.com/watch?v=KmxUn0mfXZc&feature=youtu.be|ハドロンの波に乗って]][* 링크는 리메이크로 연결하였다.] 레벨이 맵따먹기에서 제작되었다. |
388 | 388 | === 언더바게임(UnderbarGame) === |
... | ... | |
401 | 401 | ====# RandomPie #==== |
402 | 402 | COOSMOS 메인 서버에서 올라오는 미션으로, 퀴즈 맞추기나 그림 그리기, 조건대로 플레이 등등을 요구했다. 선착순 n명에게 보상을 지급했다. |
403 | 403 | |
404 | 미션을 클리어했다는 말 대신에 파이를 구웠다고 말 |
|
404 | 미션을 클리어했다는 말 대신에 파이를 구웠다고 말했다. |
|
405 | 405 | |
406 | 406 | 이를 확장해 RandomPie?라는 페스티벌도 개최했다. 매일 올라오는 미션을 성공하지 못한 참가자를 탈락시켜 최종 1인을 가려내는 방식이다. 원래 지네고가 운영했지만 자신 하차하며 Phrygia에게 대회를 양도했다. 최종 우승은 AXinen이 가져갔다.[* 놀랍게도 오리지널 곡이 존재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_KmjiP38tb4&feature=youtu.be|채보]]] |
407 | 407 | ====# 은하탐험대 (Galaxy Crossing) #==== |
408 | 408 | 언제든지 열려있는 컨텐츠로, 가지지와 Phrygia가 운영했다. 은하를 탐험하는 은하 탐험대가 적 행성들을 점령하는 컨셉이다.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7Z8IfAvaOtZX7CroCYWDRyod64HWqjFakIs5687ouno/edit?gid=1862866416#gid=1862866416|#]][* CIC는 COOSMOS 메인 서버의 재화다.] |
409 | 409 | |
410 | 판정의 갯수를 통해서 데미지를 줄 수 있으며, 역할에 따른 추가 데미지가 존재 |
|
410 | 판정의 갯수를 통해서 데미지를 줄 수 있었으며, 역할에 따른 추가 데미지가 존재했다. |
|
411 | 411 | ====# 얼마무스메 (Checkpoint Dash) #==== |
412 | 가지지가 단독 운영 |
|
412 | 가지지가 단독 운영했던 서브 이벤트로, 체크포인트를 통해 레벨 완주를 겨루는 컨텐츠다. 정해진 기간 없이 언제든지 열렸다. |
|
413 | 413 | |
414 | 414 | 놀랍게도 해설가가 존재했다. |
415 | 415 | ====# 은하수 경매장(Chart Auction) #==== |
416 | 가지지가 운영 |
|
416 | 가지지가 단독 운영했던 서브 이벤트로, 방식이 많이 특이하다. 룰을 확인하고 싶다면 [[https://www.youtube.com/watch?v=DJF4POQJezU|여기]]를 클릭하자.[[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WwrzGxkwrCIM0RePfyutmgJBDk4SZTU793rBwoyQhY0/edit?gid=0#gid=0|#]][* 해당 이벤트에서 사용되는 코인은 COOSMOS 메인서버의 재화인 CIC와 별개다.] |
|
417 | 417 | ====# 1hr VFX Contest #==== |
418 | 지네고가 운영 |
|
418 | 지네고가 운영했던 페스티벌로, Camellia(かめりあ) 230+BPM 100ksub special mix 곡으로 만들어진 채보의 파트를 나눠 받아 이펙트의 실력을 겨루는 대회이다. |
|
419 | 419 | |
420 | 420 | 만약 완성됐다면 1시간짜리 풀이펙 맵이 하나 더 나왔겠지만 수월하지 못한 진행 탓에 조기 종료했다. |
421 | 421 | == 여담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