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지지

최근 수정 시각:
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가지지 | Gazizi
파일:가지지 ChannelProfileNew.png
[ 변경 이전 프로필 펼치기 • 접기 ]
파일:가지지 ChannelProfile Old.png
| 활동명
가지지(Gazizi)
| 이전 활동명
상추융합체 (2020.03.25~2022.03.05)
SSSangchu (2022.03.06~2024.01.07)
사로아(SarouA) (2024.01.08~2024.01.20)
| 국적
대한민국
| 생년월일
2007년 11월 8일 (17세)
| MBTI
ENFP
| 인물 태그
| 소셜 미디어 정보[기준]
[ 펼치기 • 접기 ]
| 파일:Youtube.png 가지지 (@가지지)[2]
구독자
3,960
조회수
729,116
영상 수
96
| 파일:Youtube.png 너 정말 가지지하는구나? (@가지지부계정)
구독자
792
조회수
114,820
영상 수
53
| 파일:Youtube.png 내마라탕분모자누가먹었어 (@분모자)[3]
구독자
40
조회수
1,139
영상 수
4
| 레벨 제작 관련 정보[기준][5]
단독 제작 레벨
174
합작 레벨
087
총 레벨 개수
261
| 플레이 관련 정보[기준]
주 타법
밖안 타법[7]
클리어한 최고 레벨
E0ri4 - Rainy Gate(NumbEr07) 파일:gg Lv 17.svg[8][9]
| 주요 링크
파일:Role_Icon_Admin.png | 파일:Youtube.png@가지지 | 파일:Youtube.png@가지지부계정 | 파일:Youtube.png@분모자 | 별꽃정원(SSAF)[10]
1. 개요2. 활동3. 별꽃정원(SSAF)
3.1. 난이도
4. 제작한 레벨
4.1. 단독 제작 레벨
4.1.1. 2020년 4.1.2. 2021년 4.1.3. 2022년 4.1.4. 2023년 4.1.5. 2024년
4.2. 합작 레벨
4.2.1. 개인 합작 4.2.2. 팀 합작 4.2.3. 대회 합작
5. 주 컨텐츠
5.1. 레벨 쇼케이스
5.1.1. [ns] cosmos
5.2. 폴가이즈
6. 그외 컨텐츠
6.1. 이해한마당6.2. 프로그레스6.3. 단편 및 잡다한 컨텐츠
7. COOSMOS(코스모스)
7.1. 맵따먹기(Chartkus)7.2. 언더바게임(UnderbarGame)7.3. CALO7.4. 그외 컨텐츠
7.4.1. RandomPie 7.4.2. 은하탐험대 (Galaxy Crossing) 7.4.3. 얼마무스메 (Checkpoint Dash) 7.4.4. 은하수 경매장(Chart Auction) 7.4.5. 1hr VFX Contest
8. 여담

1. 개요[편집]

마지막 레벨 준비 중

가지지의 유튜브 소개 문구
대한민국의 불과 얼음의 춤 컨텐츠 제작자.

2. 활동[편집]

대부분 트랙 제작자로 활동하고 있다. 이펙트는 주력으로 하진 않지만 그의 맵에 가끔 이펙을 적용하며, 이 스타일을 좋아하는 플레이어들이 많다.

2024년 초에 얼불춤을 접는다고 선언했으나 복귀하였다. 물론 완전한 복귀는 아니고 적어도 대형 서버를 운영하진 않을 것이라고 한다. 이때 이후로 가지지의 채널에서 공개 상태의 개인 레벨 쇼케이스 영상은 Fallen Symphony와 1KONOS만 남게 되었으며, 나머지는 전부 일부 공개 혹은 비공개 처리되었다.[11]

2025년 1월 28일 커뮤니티 게시글로 밝히기로는 이제 레벨 에디팅 영상은 부계정에만, 그것도 가끔 트랙만 올라갈 것이라고 하며, 본계정에 얼불춤 영상이 올라간다면 플레이 영상일 것이라고 한다. 확실한 것은 얼불춤이 주가 되진 않을 것이라고 하며, 레벨 제작자로서는 거의 활동 중단 상태라고 한다. 그리고 이 내용을 코스모피디아에 적어달라 하였다.

2025년 3월 2일 부계정에 ɴꜱ ᴄᴏꜱᴍᴏꜱ 영상을 업로드하며 에디터로서 활동을 이 레벨의 완성으로 마무리 짓겠다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이 다음날엔 깔끔하게 얼불춤 에디터로써 끝내고 싶다는 이유로 레벨 쇼케이스 영상 여러개를 공개로 변경했다[12].

여러가지 컨텐츠를 진행하기도 하는데, 대표적으로 맵따먹기(Chartkus), 이해한마당 등의 장기 컨텐츠와 공식 레벨 1-X를 마인크래프트에서 실제 크기로 구현하고 그걸 걸어서 횡단하는 등의 단편 컨텐츠들이 있다.

3. 별꽃정원(SSAF)[편집]

SSSangchu(가지지) Sheet & Official Forum

가지지의 레벨들을 다운받을 수 있는 구글 드라이브 링크와 가지지가 제작에 참여한 레벨들이 등재되어있는 포럼이 있는 구글 스프레드 시트.

3.1. 난이도[편집]

난이도
어원
세부 난이도 표시 기호
설명
Seria
Satell(r)ite + SarouA
TremENDouS보다 쉬운 레벨들
Rostar
SarouA + star
Seria보다 어려운 레벨들
Rostar +
SarouA + star + +
Rostar 난이도 중 정상적인 플레이[13]를 위해서 11키 이상을 써야 하는 레벨들[14]
Xaroua
X + SarouA
[15]
혼자서는 클리어가 거의 불가능한 레벨들 혹은 난이도 외의 다른 요인으로 플레이 자체가 어렵거나 불가능한 레벨들
[ 종류 펼치기 • 접기 ]
Xaroua : 플레이가 목적이 아니거나 멀티 플레이를 권장하는 레벨 또는 의도와는 다르게 기믹이 적용된 레벨
Xaroua - : 퀄리티 또는 가독성으로 인해 플레이가 불가능하다시피 한 레벨
Xarouaⓒ : Copyright, 저작권 문제로 배포 자체가 불가능한 레벨

4. 제작한 레벨[편집]

4.1. 단독 제작 레벨[편집]

4.1.1. 2020년 [편집]

레벨
별꽃정원 난이도
BPM
곡 길이
링크
비고
End Of The World - CERiNG
-
Seria
▮▮▮
○○○
3분 48초
파일:Youtube.png

4.1.2. 2021년 [편집]

레벨
별꽃정원 난이도
BPM
곡 길이
링크
비고
파일:TUF Lv P15.png
Seria
▮▮
170
2분 23초
파일:Youtube.png

4.1.3. 2022년 [편집]

레벨
별꽃정원 난이도
BPM
곡 길이
링크
비고
파일:gg Lv 21_0.svg
Rostar
120~285
7분 26초
파일:Youtube.png
파일:gg Lv 21_0.svg
Seria
▮▮▮▮▮▮▮▮▮▮
171
2분 59초
파일:gg Lv 21_0.svg
Rostar
★★
250
9분 27초
파일:Youtube.png
파일:gg Lv 20_3.svg
Seria
▮▮▮▮▮▮
200
2분 36초
파일:Youtube.png
파일:gg Lv 20_8.svg
Seria
▮▮▮▮▮▮▮▮▮
222
1분 48초
파일:Youtube.png
파일:TUF Lv G19.png
Seria
▮▮▮▮▮▮▮▮
200
2분 31초
파일:Youtube.png
파일:TUF Lv U10.png
Rostar +
★★★★★
220~266
4분 49초
파일:Youtube.png
-
Xaroua
▮▮▮▮▮▮▮▮▮▮
208~271[20]
2분 08초
파일:Youtube.png
파일:TUF Lv G20.png
Seria
▮▮▮▮▮▮▮▮▮▮
208~271[21]
2분 08초
파일:Youtube.png
파일:TUF Lv U7.png
Rostar
★★
208~271[22]
2분 08초
파일:Youtube.png

4.1.4. 2023년 [편집]

레벨
별꽃정원 난이도
BPM
곡 길이
링크
비고
Annihilation in F# Minor - tn-shi
파일:TUF Lv U4.png

(논의 필요)
225
2분 45초
파일:Youtube.png
파일:TUF Lv U13J.png
Rostar +
★★★★★★★★
218~280[24]
3분 14초
파일:Youtube.png
파일:TUF Lv U11.png
Rostar +
★★★★★★★
218~280[25]
3분 14초
파일:Youtube.png
파일:TUF Lv U9.png
Rostar +
★★★★★
330
5분 54초
파일:Youtube.png
파일:TUF Lv G11.png
Seria
▮▮▮▮▮▮▮
190
3분 55초
파일:Youtube.png
With Chart (Only Chart #1) - zsry
파일:TUF Lv Q2p.png
Xaroua
★★★★★
○○○
3분 26초
파일:TUF Lv U13J.png
Rostar +
★★★★★★★★
100~440
7분 03초
Little, Love, Lit - Cinamoro
파일:TUF Lv P17.png
Seria
▮▮▮▮▮
176
2분 26초
파일:Youtube.png

4.1.5. 2024년 [편집]

레벨
별꽃정원 난이도
BPM
곡 길이
링크
비고
파일:TUF Lv P14.png
Seria
▮▮▮
225
2분 08초
파일:Youtube.png
파일:TUF Lv U9.png
Rostar?
★★★★
150~220[30]
5분 24초
파일:Youtube.png
파일:TUF Lv U13J.png
Rostar
★★★★★★★★
218~280[31]
3분 14초
파일:Youtube.png
파일:TUF Lv U12.png
Rostar
★★★★★★★
218~280[32]
3분 14초
파일:Youtube.png
파일:TUF Lv U12.png
Rostar?
★★★★★★★★
○○○
5분 32초
あかず ft. 可不 - かたぎり
파일:TUF Lv Q3.png
Rostar?
★★★★★★★★★
217
2분 25초
파일:Youtube.png

4.2. 합작 레벨[편집]

4.2.1. 개인 합작 [편집]

레벨
참여 인원
별꽃정원 난이도
BPM
곡 길이
링크
비고
파일:TUF Lv Q2p.png
Xaroua
(논의 필요)
280
2분 26초
Burning Aquamarine - かめりあ
가지지[T][E], Yiru[T][E], UREFF[T][E], Bori[T][E], 이린[T][E], Zagon[T][E], ItzXequari[T][E], Nickname[T][E], 홍시[T][E], Haarts[T][E], yyy123454321[60]
-
-
200
6분 04초
Tojita Sekai - かめりあ
가지지[T][E], UREFF[T][E], 누리[T][E], Yiru[T][E], yyy123454321[T][E], Han_rang[T][E], 홍시[T][E], 오이[T][E], 이린[T][E], Logal0[T][E], 새너_[T][E], _OrangeFJ[T][E], Bori[T][E], Haarts[T][E], BfirecatB불냥이[T][E], ItzXequari[T][E], 알파[T][E], 이재하[T][E]
-
-
205
6분 04초
파일:TUF Lv Q2p.png
Xaroua
(논의 필요)
280
2분 26초
파일:gg Lv 21_0.svg
-
115~230
7분 15초
파일:Youtube.png
-
-
115~230
7분 15초
파일:Youtube.png
M.O.P.E.-333 - LeaF & Quree
가지지[E], 겨자[T]
파일:TUF Lv G19.png
Seria
▮▮▮▮▮▮▮▮▮
333
2분 26초
파일:TUF Lv G1.png
-
160→180
11분 37초
파일:Youtube.png
파일:TUF Lv U12.png
Rostar +
★★★★★★★
150~2021[150]
10분 11초
가지지[T][E], yoonsu[E]
파일:TUF Lv U9.png
Rostar
★★★★★
147~270
5분 59초

4.2.2. 팀 합작 [편집]

4.2.3. 대회 합작 [편집]

레벨
참여 대회
참여 인원
별꽃정원 난이도
BPM
곡 길이
링크
비고
파일:TUF Lv G9.png
Seria
▮▮▮▮▮▮▮
205
6분 34초
-
Seria
▮▮▮▮▮▮▮▮▮▮
198.414~235[249]
3분 20초

5. 주 컨텐츠[편집]

5.1. 레벨 쇼케이스[편집]

가장 반응이 좋은 컨텐츠다. 늘 새로운 요소를 넣어오기에 기대하는 사람이 많다[252]. 레벨의 난이도는 거의 항상 초고렙이지만 10키 내로 처리가 가능한 게 특징이며[253], 과거에는 주로 이펙트가 거의 없는 레벨을 제작해 올렸지만 최근 들어 이펙트된 레벨의 빈도가 늘었다[254].

앞에서 서술했듯이 2025년 1월 28일 이후로는 본계정이 아닌 부계정에 레벨 쇼케이스 영상을 올리고 있다.

레벨 쇼케이스 컨텐츠는 2025년 3월 2일에 발표된 내용에 따라 마지막 레벨을 끝으로 종료될 것으로 보인다.

5.1.1. [ns] cosmos[편집]

있잖아.
천사가 하늘에서 내려와 그동안 수고했다는 의미로 소원 하나를 들어준다면, 넌 어떤 소원을 빌 거야?
세계 최고의 선수가 되는 것? 아니면 나만의 아름다운 세계를 창조하는 것? 누구도 따라잡을 수 없는 창의력을 가지는 것도 좋겠다.
아니, 너라면 어림잡을 수 없을 정도로 방대한 꿈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겠지.
난 말이야, 오래전부터 코스모스(cosmos)를 염원했어.
각자의 빛을 힘껏 뽐내는 수많은 별들의 모습을 상상하니 너무 아름다울 것 같더라고.
..아무 빛도 안 들어오는 여기 심연이랑은 많이 다르겠지?
코스모스에 너무 가보고 싶어서 하루에 한 번씩 1000번을 넘게 기도했어, 지금은 직접 올라갈 테니 적어도 몸이라도 생기게 해달라 기도 중이야.
내 상상 속에서 올라갔었던 이십만 번 보다 실제로 올라가는 게 힘들더라도, 지금까지 견뎌냈으니까.
그때가 온다면 백만 번도 넘게 시도할 거야, 셀 수 없을 만큼 많이.

채보 영상에서 공개된 프롤로그중 일부

가지지의 마지막 레벨이 될 레벨이다. 시기가 시기인 만큼 빠른 시일 내에 완성하긴 힘들 것 같다 밝혔다. 레벨을 빨리 제작해야겠다는 경각심을 느끼기 위해서 본계정에 정보를 조금씩 흘리고 있다.

문서 추가시 대체 예정

5.2. 폴가이즈[편집]

2024년 초에 얼불춤을 접는다고 선언한 후 다음 주 컨텐츠로 선택한 게임이다. 얼불춤을 떠나지 않았음을 밝힌 현재도 여전히 주 컨텐츠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며, 오히려 얼불춤을 부계정으로 밀어내고 본채널에서 1일 1쇼츠를 만들어내고 있다.[255]

굳이 폴가이즈를 선택한 이유는 예전에 재밌게 하던 때가 떠올랐기 때문이라고 밝혔다.[256]

6. 그외 컨텐츠[편집]

6.1. 이해한마당[편집]

얼불춤 최초 공감 콘텐츠

이해한마당 시즌1 영상의 설명
차터 2명, 이펙터 2명, 플레이어 2명이 역할을 바꿔가며 합작을 진행하는 컨텐츠다. 시즌 1까지 가지지가 진행했으며, 2024년 초 얼불춤을 접는다고 선언한 이후 rizecoin이 컨텐츠를 이어받아 진행 중이다.

다른 합작 레벨 쇼케이스들과는 달리 합작이 진행되며 주고받은 대화 내용 또한 보여준다. 반 이상은 장난치는 내용이다.

놀랍게도 대표가 존재하며, 대표는 오프닝의 목소리를 담당한다.[257]

배경 음악으로 리코더 연주가 깔리는데 이는 적당한 노래를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258]

6.2. 프로그레스[편집]

플레이 영상에 편집을 넣어 업로드한다. 지루할 수 있는 플레이 영상에 편집을 한다는 시도 자체가 없었기 때문에 호평을 받았다. 현재는 편집된 플레이 영상이 많이 떠돌고 있다.

6.3. 단편 및 잡다한 컨텐츠[편집]

  • 가지가지 알아가기
여러 다양한 질문에 대답해주는 Q&A 컨텐츠다. 현재 2회 진행되었다.
  • 클립 모음집
현재 한 영상만 올라와 있다. 이후 생방을 자주 진행하게 된다면 활성화할 거라 밝혔다.
  • 마인크래프트
현재까지 2번 사용된 게임이다. 한번은 생일 영상에서 사용되었고 한번은 1단계를 직접 걸어가는 영상에서 사용되었다.[259]
  • 게임 분석
자신의 레벨을 분석하거나 얼불춤 문제를 푸는 식으로 얼불춤 지식을 사용한 여러 컨텐츠를 제작한다.
  • 音MAD
원래 RainB의 목소리만 사용했지만 이후 TrusionSFM이 합류해 둘이 같이 듀엣을 부르게 되었다.
  • 생방송
정말 가끔 방송을 킨다. 주로 얼불춤을 하거나 소통을 한다.

7. COOSMOS(코스모스)[편집]

게임을 극한까지 파고 드는 저희는 COOSMOS입니다.

COOSMOS 메인 시트 "COOSMOS:시들지 않는 별"의 소개문.
얼불춤이라는 한정된 게임으로 여러 색다른 컨텐츠를 만드는 집단이었다. 가지지, 지네고[261], Phrygia, 알파, 오이가 속해있었으며 현재는 해체된 상태이다.

처음에는 맵따먹기(Chartkus)만 진행하는 서버였다. 그렇기에 서버 이름 또한 맵따먹기였다.[262]

이후 대규모 패치와 함께 서버 이름을 COOSMOS로 변경했다. 이 때 TUF, ARES랑 협력 관계를 맺었다.[263]

2024년 1월 22일 가지지가 얼접을 선언함과 동시에 COOSMOS 메인 서버의 운영 종료[264]를 발표했다. 이 때 마지막 미션이 공개되었는데, 내용은 마지막 인사 채널에서 마지막 인사를 남기는 것이다. 해당 채널에 메시지를 남긴 유저는 서버에서 강제로 나가졌는데, 다른 채널은 여전히 이용할 수 있었기에 대부분은 미션을 하지 않고 일반 채널에서 마무리를 맞이했다.

서버의 마지막이 다가오기 전 밝힌 적 없던 비밀 부계정과 함께 COOSMOS 기획안을 공개했다. 이때 여러 컨텐츠랑 맵따먹기5와 함께 서버 분리 계획이 공개되었는데, 서버를 'COOSMOS:전원의 정원[265][266]'과 'COOSMOS:꽃잎이 만나는 곳[267][268]'으로 분리할 계획이었다고 했다. 이후 시간이 되면서 서버는 완전히 삭제되었다.[269][270]

이름이 COOSMOS인 이유는 한 곳으로 수렴하는 꽃의 형태에서 영감을 받아, 꽃과 얼불춤의 우주를 잘 조합해 만들었다고 한다[271]. O가 2개인 이유는 시트의 배너에서 알 수 있듯이 무한 기호를 표현한 것이다.

7.1. 맵따먹기(Chartkus)[편집]

서버의 대표 이벤트중 하나로, 가지지가 단독 운영했다. 상대 팀보다 높은 정확도로 플레이 해 레벨을 점령하거나 랜덤하게 올라오는 미션들을 상대 팀보다 빠르게 완수해 포인트를 얻어 최종 포인트를 겨루는 미니게임이다.

매 시즌마다 새로운 요소를 들고 와 인기가 매우 좋았다. 시즌 2의 경우 팀 미션과 오리지널 레벨이 추가되었으며, 시즌 3의 경우 팀이 4개로 늘었고, 시즌 4의 경우 에디팅 요소까지 추가되었다[272]. 때문에 시즌 5의 기대가 엄청났는데, 오리지널 곡도 제작하며 스케일을 키우다가 얼접과 함께 메인 서버의 운영을 종료하며 자연스럽게 무산됐다.[273]

Icyxis, ハドロンの波に乗って[274] 레벨이 맵따먹기에서 제작되었다.

7.2. 언더바게임(UnderbarGame)[편집]

서버의 대표 대회중 하나로, 알파Phrygia가 운영했다.

언더바게임이 COOSMOS 소속 대회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이 대다수다.

알파가 방송 도중 AWC 2025 그룹 라운드에서 탈락할 시 언더바게임 3를 개최하겠다고 발표했으나, 알파가 그룹 라운드를 통과하여 무산된 듯 하다.

문서 추가시 대체 예정

7.3. CALO[편집]

파일:아이콘 자세한 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고하십시오.

서버의 대표 대회중 하나로, 현재 오이가 독자적으로 운영중이다.

7.4. 그외 컨텐츠[편집]

7.4.1. RandomPie [편집]

COOSMOS 메인 서버에서 올라오는 미션으로, 퀴즈 맞추기나 그림 그리기, 조건대로 플레이 등등을 요구했다. 선착순 n명에게 보상을 지급했다.

미션을 클리어했다는 말 대신에 파이를 구웠다고 말했다.

이를 확장해 RandomPie?라는 페스티벌도 개최했다. 매일 올라오는 미션을 성공하지 못한 참가자를 탈락시켜 최종 1인을 가려내는 방식이다. 원래 지네고가 운영했지만 자신 하차하며 Phrygia에게 대회를 양도했다. 최종 우승은 시넨이 가져갔다.[275]

7.4.2. 은하탐험대 (Galaxy Crossing) [편집]

언제든지 열려있는 컨텐츠로, 가지지와 Phrygia가 운영했다. 은하를 탐험하는 은하 탐험대가 적 행성들을 점령하는 컨셉이다. #[276]

판정의 갯수를 통해서 데미지를 줄 수 있었으며, 역할에 따른 추가 데미지가 존재했다.

7.4.3. 얼마무스메 (Checkpoint Dash) [편집]

가지지가 단독 운영했던 서브 이벤트로, 체크포인트를 통해 레벨 완주를 겨루는 컨텐츠다. 정해진 기간 없이 언제든지 열렸다.

놀랍게도 해설가가 존재했다.

7.4.4. 은하수 경매장(Chart Auction) [편집]

가지지가 단독 운영했던 서브 이벤트로, 방식이 많이 특이하다. 룰을 확인하고 싶다면 여기를 클릭하자.#[277]

7.4.5. 1hr VFX Contest [편집]

지네고가 운영했던 페스티벌로, Camellia(かめりあ) 230+BPM 100ksub special mix 곡으로 만들어진 채보의 파트를 나눠 받아 이펙트의 실력을 겨루는 대회이다.

만약 완성됐다면 1시간짜리 풀이펙 맵이 하나 더 나왔겠지만 수월하지 못한 진행 탓에 조기 종료했다.

8. 여담[편집]

  • 활동명이 가지지인 이유는 없다고 한다. 놀랍지만 진짜다.
    • 상추융합체는 팬계정 닉네임이고, SSSangchu는 이전 닉네임을 따른 닉네임이다. 사로아는 최대한 많은 사람들을 사로잡아 보자는 목표를 가지고 만들어진 닉네임이다.
  • 얼불춤은 여사친을 통해서 처음 알게 되었다고 한다.
  • 가장 좋아하는 레벨은 exit from "SHiP" (celtix remix)(굥욷 외 6인)이라고 한다.
  • 본인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레벨 에디터가 PLORALD라고 밝혔다[278].
  • 입체적인 스토리를 가진 레벨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하곤 한다. 때문에 굥욷의 CDF 2 결승 제출작인 Terminus Of The Eternity(굥욷 외 5인)의 스토리 작성을 돕기도 했다.
  • 리듬 게임 음악 한정 빠르면서도 난해하지만 아름다운 선율을 가진 곡을 선호한다고 한다.
  • 그림을 꽤나 잘 그린다. [282]
  • 가끔 작곡을 하여 Soundcloud에 올렸으나 활동 중단 이후 곡들을 삭제했다.
  • 코스모피디아에 관심이 많다. 본인 문서를 스스로 편집해 많은 부분을 추가했다. 이 또한 본인이 추가했다.
[기준] 1.1 1.2 1.3 2025년 3월 22일[2] 해당 채널에 올라온 대부분의 영상이 일부 공개로 내려갔다. 대신 별꽃정원의 메인 시트에 있는 유튜브 링크를 통해서 거의 모든 레벨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3] 아무에게도 알리지 않고 개설한 채널이다. 현재는 자신의 부계정이라고 밝힌 상태.[5] 별꽃정원의 레벨 등재 기준에 따라 일부 레벨의 다른 버전 레벨들은 카운팅하지 않았다. 모두 포함할 시 총 레벨 개수는 295개.[7] 중지 기반 일자 배치 밖안이라는 다소 이상한 타법을 사용한다.[8] 클리어를 목적으로 플레이하지 않기 때문에 실력에 비해 클리어한 최고 레벨이 낮다. 이 레벨 또한 생방송에서 투게더를 진행하며 한번에 클리어한 것.[9] かめりあ - WYSI(oSKYo)의 경우 어떠한 포럼에도 등재되어 있지 않아 제외했고, かめりあ - First Town Of This Journey(Super ADOFAI Maker 2)의 경우에는 완벽 주의에 가까운 플레이를 보였으나 보통판정이였기에 제외했다.[10]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조.[11] 대신 별꽃정원의 메인 시트에 있는 유튜브 링크를 통해서 거의 모든 레벨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12] 모든 영상이 공개로 돌아온 것은 아니다.[13] 주 손과 반대 손을 번갈아 쳤을 때, 주 손을 움직이는 템포가 570bpm 이하일 때 (TremENDouS까지 인정)[14] 게임 룰이 10키 플레이라면 Rostar + 분류 조건에 부합해도 Rostar로 분류됨[15] Rostar보다 어려운 레벨의 경우[우선순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순서대로 ADOFAI.gg, TUF, Steam 창작마당 레벨을 우선시하여 하나만 작성합니다.[non-effect] 19.1 19.2 19.3 19.4 19.5 [20] 263 → 271 → 257 → 237 → 222 → 208[21] 263 → 271 → 257 → 237 → 222 → 208[22] 263 → 271 → 257 → 237 → 222 → 208[24] 218 → 220 → 225 → 230 → 235 → 240 → 242 → 245 → 248 → 250 → 255 → 260 → 265 → 270 → 275 → 280 → 275 → 270 → 260 → 250 → 240 → 230 → 220[25] 218 → 220 → 225 → 230 → 235 → 240 → 242 → 245 → 248 → 250 → 255 → 260 → 265 → 270 → 275 → 280 → 275 → 270 → 260 → 250 → 240 → 230 → 220[26] Only Chart #1 영상[27] 원래 곡 없이 트랙만 제작한 Only Chart 레벨이었으나, zsry가 해당 트랙에 맞춰 With Chart라는 곡을 작곡했고, 이 곡을 적용한 레벨을 TUF와 별꽃정원에 등재했다.[30] 220 → 210 → 200 → 190 → 180 → 170 → 160 → 150 → 180 → 150 → 160 → 170 → 180 → 190 → 200[31] 218 → 220 → 225 → 230 → 235 → 240 → 242 → 245 → 248 → 250 → 255 → 260 → 265 → 270 → 275 → 280 → 275 → 270 → 260 → 250 → 240 → 230 → 220[32] 218 → 220 → 225 → 230 → 235 → 240 → 242 → 245 → 248 → 250 → 255 → 260 → 265 → 270 → 275 → 280 → 275 → 270 → 260 → 250 → 240 → 230 → 220[T]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5.10 35.11 35.12 35.13 35.14 35.15 35.16 35.17 35.18 35.19 35.20 35.21 35.22 35.23 35.24 35.25 35.26 35.27 35.28 35.29 35.30 35.31 35.32 35.33 35.34 35.35 35.36 35.37 35.38 35.39 35.40 35.41 35.42 35.43 35.44 35.45 35.46 35.47 35.48 35.49 35.50 35.51 35.52 35.53 35.54 35.55 35.56 35.57 35.58 35.59 35.60 35.61 35.62 35.63 35.64 35.65 35.66 35.67 35.68 35.69 레벨의 트랙을 담당했다.[E]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6.10 36.11 36.12 36.13 36.14 36.15 36.16 36.17 36.18 36.19 36.20 36.21 36.22 36.23 36.24 36.25 36.26 36.27 36.28 36.29 36.30 36.31 36.32 36.33 36.34 36.35 36.36 36.37 36.38 36.39 36.40 36.41 36.42 36.43 36.44 36.45 36.46 36.47 36.48 36.49 36.50 36.51 36.52 36.53 36.54 36.55 36.56 36.57 36.58 36.59 36.60 36.61 36.62 36.63 36.64 36.65 36.66 36.67 36.68 36.69 36.70 36.71 36.72 36.73 36.74 36.75 36.76 36.77 36.78 36.79 36.80 36.81 36.82 36.83 36.84 36.85 36.86 36.87 36.88 36.89 36.90 36.91 36.92 36.93 36.94 36.95 36.96 36.97 36.98 36.99 36.100 36.101 36.102 36.103 36.104 36.105 36.106 36.107 36.108 36.109 36.110 36.111 36.112 36.113 36.114 36.115 36.116 36.117 36.118 36.119 36.120 레벨의 이펙트를 담당했다.[F]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39.10 39.11 39.12 합작 레벨 영상[60] 명예 멤버[62] N타일 합작의 두번째 합작이다.[100] N타일 합작의 세번째 합작이다.[150] 265 → 230 → 200 → 150 → 256 → 252.875 → 230 → 250 → 2021[157] 원래 개인 제작 레벨이었으나 클리어를 도전하던 yoonsu가 버그 픽스와 기믹 수정을 도우면서 합작이 되었다.[173] 345 → 262 → 387 → 248 → 431 → 616[204] 345 → 262 → 387 → 248 → 431 → 616[236] ADOFAI World Championship 2024 결승 타이브레이커 레벨이다.[Fixed] 수정 버전.[244] CDF 2 결승전에서 굥욷의 레벨의 트랙을 담당했다.[249] 213 → 210 → 213 → 210 → 198.414 → 213 → 210 → 198.414 → 213 → 218 → 225 → 230 → 235[251] CDF 2023 결승전에서 응애의 레벨의 트랙을 담당했다.[252] Icyxis식 채보, 판정 제한, 키 제한 등의 많은 기믹들이 해당 컨텐츠에서 최초로 공개되었다.[253] 과거에는 128비트의 선구자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다중 키를 요구하는 레벨을 많이 제작하였다, 하지만 Parallel Universe Shifter 이후로는 10키로 처리할 수 있는 레벨만 제작 중이다.[254] 아무런 이펙트도 없는 Parallel Universe Shifter가 레벨 리스트 최상단에 오르자 이건 아니다 느껴 최근 레벨에는 이펙트를 넣었다 밝혔다.[255] 3월 2일부터 쇼츠 제작이 중단되었다. 이유는 역시 마지막 레벨 제작.[256] 게임 출시 바로 다음날에 시작했다.[257] 그 외에 별다른 건 없으며, 단지 블루아카이브가 떠올라 넣었다고 한다.[258] 해당 영상 내에서 연주자가 익명으로 표기되어 있는데, 이는 컨텐츠 진행자인 가지지도 편집자인 오이도 아닌 제 3자가 녹음을 맡았기 때문이다.[259] 생일 영상의 경우 원본 영상이 내려가 클립 모음집에 클립으로만 존재한다.[260] 코스모피디아에 링크가 생기기 전까지는 별꽃정원의 하이퍼링크로만 관람할 수 있었다.[261] 논란에 의한 자진 하차.[262] 많은 사람이 서버 이름을 맵따먹기로 알고 있는 이유기도 하다.[263] Phrygia가 이때 들어왔다.[264] 서버를 아예 삭제했다.[265] 메인 서버의 이름이 될 예정이었다.[266]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모든 게이머가 즐길 수 있는 컨텐츠를 운영하는 서버이다.[267]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모든 플레이어가 들어올 만한 흥미로운 시스템이 탑재된 서버이다.[268] 시트 이름이 'COOSMOS:시들지 않는 별'인 이유도 이 둘의 이름 때문이다.[269] COOSMOS의 존재 자체가 얼접에 영향을 적지 않게 주었다고 밝혔다.[270] 원래 이 모든 과정을 영상으로 녹화 할 생각이었다고 했다. 하지만 치명적인 실수로 녹화를 실패해 서버의 마지막 모습은 기억으로만 남게 되었다.[271] 부제에 뜬금없이 '정원'과 '시듦'이 들어간 이유다.[272] 시즌 4의 경우 다시 한번 하면 안되냐고 예기를 들을 정도로 매우 성공한 시즌이었다. 시스템 자체가 매우 탄탄하게 이루어져 있어 꼼수 없이 실력으로만 승부가 이루어졌으며, 실력과 관계 없이 누구든지 팀에 관여할 수 있었다. 이전 시즌들과 달리 에디터도 참여할 수 있었으며, 플레이어와 동등한 영향력을 펼칠 수 있었다. 또한 조건에 맞게 레벨을 제작하면 추가로 포인트를 지급했는데, 덕분에 색다른 레벨이 여럿 제작되었다. 추가로 에디팅 미션에 퍼즐 해석 미션에 스파이 찾기 미션까지 정말 다양한 미션이 주어졌다. 맵따먹기4 레벨 호감도 순위[273] 오리지널 곡 리스트의 경우 COOSMOS 메인 시트에 존재한다.[274] 링크는 리메이크로 연결하였다.[275] 놀랍게도 오리지널 곡이 존재한다. 채보[276] CIC는 COOSMOS 메인 서버의 재화다.[277] 해당 이벤트에서 사용되는 코인은 COOSMOS 메인서버의 재화인 CIC와 별개다.[278] 놀랍게도 PLORALD는 본인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이펙터로 가지지를 고른 적이 있다.[279] 잦은 변속과 난해한 변박이 쉴 틈 없이 등장하는 EZ2ON REBOOT : R의 양대 보스곡이다. 최대 BPM은 290.[280] maimai 시리즈의 최종 보스곡이다. 최대 BPM은 225[281] 24비트로 악명이 자자한 SOUND VOLTEX EXCEED GEAR의 수록곡이다. BPM은 236. [282] 유튜브와 사운드클라우드 프로필, Little Rabbit and Deliverance에서 등장하는 그림 등을 직접 그렸다.
모든 문서는 CC BY-NC-SA 4.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