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분류
PELEX | 펠렉스 | |||
| 본명 | |||
김창우 (金蒼隅)[1] | |||
| 활동명 | |||
PELEX (펠렉스)[2] | |||
| 국적 | |||
대한민국 | |||
| 생년월일 | |||
2006년 7월 12일 (18세) | |||
| 인물 태그 | |||
| 소셜 미디어 정보[기준] | |||
| 레벨 제작 관련 정보[기준] | |||
단독 제작 레벨 000 | 합작 레벨 000 | 총 레벨 개수 000 | |
| 주요 링크 | |||
1. 개요[편집]
고렙 주로 제작합니다.PELEX의 유튜브 소개 문구
PELEX는 대한민국의 불과 얼음의 춤 레벨 제작자이다.
2. 활동[편집]
레벨 에디팅을 주력으로 한다.
트랙 제작, 이펙트 둘다 하지만 대부분 '"트랙 제작'"을 맡는다.
여러 테크닉을 다양하게 사용하며, 차트의 깔끔함과 박자 선택이 매우 훌륭한 편이다.
" 어느 차트에도 밋밋한 부분이 있어선 안된다. " [5]는 이상한 신조를 가지고 있다.
'"대형 합작'" 을 여러 번 시도한 적이 있으며, 합작을 넘어서 여러 대형 대회들의 인력으로도 참여한 바 있다.
트랙 제작, 이펙트 둘다 하지만 대부분 '"트랙 제작'"을 맡는다.
여러 테크닉을 다양하게 사용하며, 차트의 깔끔함과 박자 선택이 매우 훌륭한 편이다.
" 어느 차트에도 밋밋한 부분이 있어선 안된다. " [5]는 이상한 신조를 가지고 있다.
'"대형 합작'" 을 여러 번 시도한 적이 있으며, 합작을 넘어서 여러 대형 대회들의 인력으로도 참여한 바 있다.
3. 제작한 레벨[편집]
3.1. 단독 제작 레벨[편집]
3.1.1. 2022년 [편집]
3.2. 합작 레벨[편집]
3.2.1. 개인 합작 [편집]
3.2.2. 팀 합작 [편집]
레벨 | ||||
제작 팀 | ||||
참여 인원 | ||||
난이도[우선순위] | BPM | 곡 길이 | 링크 | 비고 |
QED Collab Team | ||||
263→271 | 2분 08초 | |||
170 | 3분 14초 | |||
136 | 3분 41초 | |||
180~256 | 2분 47초 | |||
150~320 | 7분 19초 |
3.2.3. 대회 합작 [편집]
레벨 | ||||
참여 대회 | ||||
참여 인원 | ||||
난이도[우선순위] | BPM | 곡 길이 | 링크 | 비고 |
Alphrolepis - Nickname | ||||
- | 170 | 1분 03초 | ||
Nacreous Snowmelt - かめりあ | ||||
139 ~ 201 | 7분 20초 | |||
BOO! - RKD | ||||
215~265 | 4분 54초 | |||
Keep Going! (CDF Edit) - Nota | ||||
- | 180 | 57초 | ||
大地の閾を探して [Looking for Edge of Ground] - かめりあ | ||||
174 | 8분 29초 | |||
Pastel Flight - XH | ||||
170 | 6분 04초 | |||
2021年の魔法使いたち - かめりあ | ||||
155 | 5분 34초 | |||
Essence - takehirotei vs HowToPlayLN | ||||
언더바 게임 | ||||
PELEX[T] | ||||
○○○ | 7분 27초 | |||
虚 - Halv | ||||
언더바 게임 | ||||
PELEX[T] | ||||
- | 188 | 2분 42초 | ||
205 | 6분 34초 | |||
Black Neon - Zytrx | ||||
언더바 게임 | ||||
PELEX[T] | ||||
195 | 3분 08초 | |||
174 | 5분 36초 |
4. 대회 활동[편집]
4.1. CDF 1[편집]
2라운드에서 탈락하였다.
4.2. CDF 2[편집]
2라운드에서 탈락하였다. 2스택
4.3. CDF 2023[편집]
2라운드에서 탈락하였다. 3스택
4.4. CDF 4[편집]
2라운드에서 탈락하였다. 4스택
탈락 후, 바로 다음 라운드에서 트랙 제작자로 등장했다.
탈락 후, 바로 다음 라운드에서 트랙 제작자로 등장했다.
5. 여담[편집]
- 7년 째 장기 연애 중인 여자친구가 있다.
- 여러 분야의 차트를 제작하는 것 치곤 플레이를 정말 못한다.[238]
어느정도 이름이 알려진 차터들 중에서는 꼴등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 - 형과 동생이 있다고 한다. 형은 04년생, 동생은 10년생이라고 한다.
- 키가 191cm일 정도로 장신이다. 유저 내 최장신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
- 발로란트 아시아 서버 최대 티어가 초월자 2라고 한다. 한국 서버는 계정을 만들지 않았다고.
- 가장 존경하는 차터는 Nephrolepis, 이펙터는 이펙트를 웅장하고 예쁘게 하는 사람 모두라고 한다.
- 가장 좋아하는 맵은 아직까지도 Terminus Of The Eternity(굥욷 외 5인) 라고 한다. 이유는 마지막 부분이 아직도 소름이 돋아서라고.
[1] 푸를 창 蒼, 모퉁이 우 隅 로, 동쪽의 모퉁이라는 뜻이다. (대한민국을 가르키는 뜻이기도 하다.)[2] 여담으로, 닉네임의 유래는 자신의 천주교 세례명 " Felix " 에서 따온 것이라고.[기준] 3.1 3.2 2025년 2월 27일[5] 지루한 부분이 생길 때는 자연스러운 없박을 넣는다고 한다. [우선순위] 6.1 6.2 6.3 6.4 순서대로 ADOFAI.gg, TUF, Steam 창작마당 레벨을 우선시하여 하나만 작성합니다.[7] CDF 4의 준결승에 제출한 레벨이다.[T] 9.1 9.2 9.3 9.4 9.5 9.6 9.7 9.8 9.9 9.10 9.11 9.12 9.13 9.14 9.15 9.16 9.17 9.18 9.19 9.20 9.21 9.22 9.23 9.24 9.25 9.26 9.27 9.28 9.29 9.30 9.31 9.32 9.33 9.34 9.35 9.36 9.37 9.38 9.39 9.40 9.41 9.42 9.43 9.44 9.45 9.46 레벨의 트랙을 담당했다.[E]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0.10 10.11 10.12 10.13 10.14 10.15 10.16 10.17 10.18 10.19 10.20 10.21 10.22 10.23 10.24 10.25 10.26 10.27 10.28 10.29 10.30 10.31 10.32 10.33 10.34 10.35 10.36 10.37 10.38 10.39 10.40 10.41 10.42 10.43 10.44 10.45 10.46 10.47 10.48 10.49 10.50 10.51 10.52 10.53 10.54 10.55 10.56 10.57 10.58 10.59 10.60 10.61 10.62 10.63 10.64 10.65 10.66 10.67 10.68 10.69 10.70 10.71 10.72 10.73 10.74 10.75 10.76 10.77 10.78 10.79 10.80 10.81 10.82 10.83 10.84 10.85 10.86 10.87 10.88 10.89 10.90 10.91 10.92 10.93 10.94 10.95 10.96 10.97 10.98 10.99 10.100 10.101 10.102 10.103 10.104 10.105 10.106 10.107 10.108 10.109 10.110 10.111 10.112 10.113 10.114 10.115 10.116 10.117 10.118 10.119 10.120 10.121 10.122 10.123 10.124 10.125 10.126 10.127 10.128 10.129 레벨의 이펙트를 담당했다.[F]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2.10 12.11 12.12 12.13 12.14 12.15 12.16 12.17 12.18 12.19 합작 레벨 영상[P]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파트 영상[73] 265 → 230 → 200 → 150 → 256 → 252.875 → 230 → 250 → 2021[84] Han_rang, 서울사는 김민수, 옥빔, Star4th, Bori, rodck, R=DY, 솜솜, niAE, Editor AlriC, Hyachen, 으악, Cmico, Logal0, 3TAR, 토끼로봇, CLiF, Olive, SurberHD, medibel, Millimeter, 새벽, 조미래, ED24, 응애, Sprout, _OrangeFJ, Alex1044, Hye, Wishtimes, Misoguy, Oz, 더파쿠르, PowerFactory, 김파카, hotduck, yldo, 천뭉, 한월, 시온, GamingGooseTV, NfK, 오이, 바선생, Bingsu, COMMON, sediero, Ne xt, ORTAL, 이아연 Ayn, RinkiRin, Azure, 공괌, 고서양, HanB, ÒwÓLaDal, 박챠럄(=붕어빵), 헤르니, PillyXD, Becl_, yyy123454321, 굥욷, 이린[92] 레벨 연결을 담당했다.[119] ADOFAI World Championship 2024 8강 타이브레이커 레벨이다.[N] 124.1 124.2 논이펙 영상[125] ADOFAI World Championship 2024 결승 타이브레이커 레벨이다.[137] ADOFAI World Championship 2024 결승 타이브레이커 레벨이다.[159] ADOFAI World Championship 2024 결승 타이브레이커 레벨이다.[163] CDF 1 예선에 제출한 레벨이다.[174] CDF 1의 1라운드에 제출한 레벨이다.[182] CDF 1의 2라운드에 제출한 레벨이다.[185] CDF 2의 예선에 제출한 레벨이다.[197] CDF 2 1라운드에 제출한 레벨이다.[206] CDF 2의 2라운드에 제출한 레벨이다.[213] CDF 2의 준결승에서 공구함의 레벨에 피쳐링으로 참여했다.[215] 언더바 게임의 1라운드에 제출한 레벨이다.[217] 언더바 게임의 2라운드에 제출한 레벨이다.[Fixed] 수정 버전.[225] CDF 2의 결승에서 굥욷의 레벨에 피쳐링으로 참여했다.[227] 언더바 게임의 이벤트 라운드에 제출한 레벨이다.[235] CDF 5 결승전에서 굥욷의 레벨의 트랙을 담당했다.[236] CDF 5는 트랙 제작자로 들어갔다.[237] 여담으로, 다른 레벨 제작 대회인 HCEC 2에서마저 2라운드 탈락을 기록하였다.[238] 본인 피셜로는 Plum - R(KanoKaz, NumbEr07)도 잘 못 깨는 수준이라고.
모든 문서는 CC BY-NC-SA 4.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