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pper (r5)

해당 리비전 수정 시각:
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Jipper
파일:Jipper ChannelProfile.png
활동명
Jipper(지퍼)
생년월일
2009년 12월 14일 (15세)
국적
대한민국
MBTI
INTJ-T
구독자
1만명[기준]
조회수
4,044,496회[기준]
주요 링크
파일:Youtube.png
1. 개요2. 활동3. 클리어한 레벨4. 제작한 레벨5. 여담

1. 개요[편집]

얼불춤 주로 플레이합니다

Jipper의 유튜브 소개 문구
Jipper는 대한민국의 불과 얼음의 춤 플레이어이다.

2024년 현재 기준 The Universal Forums 랭킹 1위이자 유일한 21.3 난이도 레벨 클리어자이다.

2. 활동[편집]

3. 클리어한 레벨[편집]

★: 최초 클리어

4. 제작한 레벨[편집]

5. 여담[편집]

  • 활동명은 교복을 보고 떠올렸다고 한다.
  • 놀면서 핸드폰으로 유튜브를 보다가 '어! 나도 유튜브 해봐야겠다!'라고 생각하고 유튜브를 시작했다고 한다.
  • 얼불춤을 알게된 계기는 나랑께의 영상이며, 시작해보기로 결심한건 BWen이 출연한 테스터훈 장인초대석이라고 한다.
  • 얼불춤의 물리적 한계까지 도달하는 것이 목표라고 한다.
  • 키는 171cm라고 한다.
  • 반려견을 키운다. 이름은 예삐[3]이고 나이는 9살이며 성별은 암컷이다.
  • 클리어 리액션으로 소리를 지르는 것으로 유명하다.
  • 채널이 날아간 적이 있다. 그래서 지금 채널의 오래된 영상들을 보면 설명란에 '채널이 왜 날아가가지고 왜 다시올려야돼'라는 문구가 있다.
  • 얼불춤이 망한다면 유튜브를 접을거냐고 물어보는 질문에 "얼불춤이 망한다는 것 자체를 생각해본 적 없다"고 답변했다. 덧붙이기를 만약 얼불춤이 망한다 해도 다른 영상 올리면서 유튜브 활동은 이어갈 것이라고 한다. 추가로 얼불춤 말고 다른 컨텐츠를 한다면 마인크래프트를 할 예정이라고 한다.
  • 비공식 포럼 난이도별 클리어에 걸리는 시간을 묻는 질문에 1~10레벨은 초견 클리어가 가능하고, 10~20레벨은 길면 20분, 20~21레벨은 어려운 것은 대략 40분 쯤 걸릴 것 같고 읽기 쉬운건 초견 클리어가 가능할 것 같다고 답하였다. 또한 21~21.1레벨은 1시간 정도, 21.1~21.2레벨은 3시간 정도, 21.2레벨은 하루, 21.2+레벨은 3일, 21.3레벨은 2주~3개월쯤 걸릴 것 같다고 답하였다.
  • QnA를 진행한 시점 기준 클리어한 레벨들중 가장 마음에 들었던 레벨은 seatrus - am(연석이2)이며[4], 가장 감명깊었던 클리어는 Frums - multi_arm(Zagon)이라고 한다.
  • 보라색을 좋아하냐는 질문에 원래 지퍼 본인이 좋아하는 색은 파란색이나 이미 이전에 파란색 테마를 썼었고 날먹하기 싫어서 지퍼라는 활동명과 어울리는 색을 찾은 것이 보라색이라고 한다. 실제로는 보라색은 안좋아한다고 한다[5].
  • 본인이 생각하는 얼불춤의 장단점을 묻는 질문에 "장점: 이펙트가 화려하다, 단점: 이펙트가 화려하다"라고 답했다.
  • 질주 패턴을 매우 좋아한다고 밝혔다. 반면 개박 패턴은 매우 싫다고 했다.
  • 본인이 생각하기에 얼불춤에서 난이도가 고평가가 된 레벨은 4-X이고, 저평가가 된 레벨은 Frums - We Want To Run(Nephrolepis, Asansis)라고 한다.
  • 가장 좋아하는 레벨은 Ludicin - Fallen Symphony(가지지), 가장 좋아하는 작곡가는 Ludicin, 가장 좋아하는 채보러는 가지지, 가장 좋아하는 이펙터는 Zidldpa(지들파), 가장 존경하는 플레이어는 BWen이라고 한다.
[기준] 1.1 1.2 2024년 9월 5일 기준[3] ADOFAI Team Championship 2024에 출전할때 팀 이름이 Team Yeppi(팀 예삐)였다.[4] 그 이전에는 Ludicin - Fallen Symphony(가지지)였다고 한다.[5] 그래도 오래 활동하면서 계속 봐오다보니 내성이 생겼는지 괜찮아보인다고 한다.
모든 문서는 CC BY-NC-SA 4.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